운전을 하다 보면 내비게이션이 엉뚱한 길로 안내하거나 가까운 거리를 굳이 먼 길로 돌아가라는 경우가 많다. 지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안 됐거나, 전지구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오차 때문이다. GNSS를 보유한 국가는 미국(GPS), 러시아(글로나스), 중국(바이두) 세 곳이다. 모두 이들 국가의 GNSS를 빌려 쓰기 때문에 지역마다 오차가 생긴다. GPS의 오차는 최대 20m에 달한다.
이런 오차를 ㎝ 단위까지 줄이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사업이 내년부터 시작된다. 정지궤도 위성 3기, 경사궤도 위성 5기 등 총 8기 위성을 발사해 한반도 인근에 초정밀 지역항법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자율주행차, 플라잉카(도심항공모빌리티)의 핵심 인프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KPS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켰다. 내년부터 2035년까지 3조7234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2027년 첫 위성 발사를 시작으로 2035년까지 위성 8기를 발사한다.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 등 관계부처가 참여한다.
현재 미국이 운영 중인 GPS 위성 개수는 31개다. 이들 위성이 지상 수신국(안테나)과 수신기(차량, 선박, 비행기 등)의 좌표를 토대로 항법시스템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차량 A에서 목적지로 B를 내비게이션에 찍으면, 위성이 A와 B 인근 수신국에 전파를 보내고 받는 시간과 거리를 수학적으로 계산해 위치정보를 표기한다. 이 과정에서 지구 자전 등 우주환경 때문에 생기는 위성의 시간과 궤도 오차를 보정해야 한다. 이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