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첨단 광전자 정보통신 및 광 기술 분야의 창의적 전문 인력 양성





전공소개

광전자공학 연구분야는 광통신/광교환/광대역융합시스템과 최첨단 광소자 개발 뿐 아니라 홀로그래피, 광디스플레이, 나노포토닉스와 센서 분야 등 기반학문에서 차세대 시스템까지 파급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최근 정보 통신 분야에서 폭증하는 정보량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광통신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의 전자적 정보처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광정보처리 기술, 고도의 정밀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광통신에 요구되는 다양한 파장을 생산하는 레이저기술, 대용량의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광전송로 기술, 목적지까지의 데이터 self-routing을 실현하기 위한 광전송시스템 및 네트워크기술, 광스위치, 도파로, 광반도체 등을 개발하는 광소자 기술 등 광전자공학 관련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동향에 따라 전자 정보통신 분야에 있어 광전자공학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빛을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광전자공학의 체계적인 교육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광전자공학과는 광통신시스템 및 광소자등의 광통신 분야, 광정보처리 분야와 더불어 광학 시스템, 광학 부품 등 공학의 관점에서 빛을 이용한 전분야를 체계적으로 가르쳐 차세대 전자 정보통신의 핵심인 광전자 정보통신 및 광 기술 분야에 진출할 창의적 전문 기술 인력을 육성하고자 설립되었다.

광전자공학과의 주요 교육 및 연구 부문은 크게 광시스템분야, 반도체와 관련된 광소자 분야, 광정보 처리 분야, 레이저 및 계측 분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광전자 정보통신 및 광기술 분야의 산업 일선에서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광전자공학 고유의 전공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무선통신, 정보통신, 기계, 물리, 컴퓨터 분야 등의 폭넓은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광전자공학 교과 과정에는 전기전자, 정보통신, 컴퓨터공학의 기초 과정이 포함되었으며, 광기술 관련 연구/개발 분야에서 광전자 공학 지식을 실무에 직접 접목시킬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을 배양하도록 편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첨단 광전자 정보통신 및 광 기술 분야의 창의적 전문 인력 양성


졸업 후 진로

광전자공학과 졸업생들은 광전자, 광정보통신, 디스플레이, 반도체, 의광학, 레이저, 정밀 광학등의 광범위한 전자정보분야에 진출하여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광전자 공학과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을 많이 도입하고 있고 현재 그린 IT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는 LED 및 광전자 분야를 다루고 있어, 기술 마케팅 또는 첨단 엔지니어로서의 희소성을 이용하여 산업계에서 활동할 수도 있다. 좀 더 전문적인 분야로 진출을 위하여 세종대 대학원 및 국내외 우수 대학원으로의 진학도 활발한 편이며, 관련 분야의 공무원 및 국가 연구소의 연구원 등으로도 활동도 가능하다. 졸업생들의 자세한 취업현활 및 활동 상황에 대한 정보는 취업정보 홈페이지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