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 교과목명 | 교과목 해설 |
안전 | 원전 통합 안전/방호 설계 (Integrated Safety/Security Design | 효율적인 원전설계를 위한 통합 안전/방호 설계를 강의한다. 추가하여 물리적방호설계 유효성평가를 강의한다. 원전의 설계는 크게 안전설계와 물리적방호 설계로 나누어지며 이 두 설계는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원전 리스크 불확실성분석 (Risk Uncertainty Analysis | Bayesian Network 방법을 이용한 신뢰도정량화 방법을 강의한다. 또한, 확률론적안전성평가를 위한 Bayesian Inference기법을 강의한다. | |
원전 화재리스크분석 (Fire Risk Analysis for Nuclear Power Plant) |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리스크분석 기법을 강의한다. 또한 화재리스크분석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강의한다. | |
환경 영향 평가 (Environmental Consequence Analysis) | 원자력 시설의 내부 사고에 기인한 부지내부 혹은 부지외부의 방사선 영향 평가를 다룬다. 날씨에 따른 대기 중 방사능 물질의 전파를 정량화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다룬다. | |
원자력 안전/방호 특론 (Special Topics in Nuclear Safety | 원전의 향상된 안전/방호/비상대응을 위한 설계/규제/운전 이슈를 다룬다. 특히, 원전 리스크 분석과 물리적 방호의 연계 이슈를 다룬다. | |
고급 확률론적안전성 평가 (Advanced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 공통원인고장분석, 인간오류분석, 지진리스크분석 등 확률론적안전성평가의 고급 이슈들을 강의한다. | |
고급 안전계통 고장수목분석 (Advanced Fault Tree Analysis | 전통적인 불리안대수, 회로설계에 사용되는 진리표, 그리고 최근에 개발된 이진결정수목에 기초한 고급 고장수목분석 방법을 강의한다, | |
원전 리스크평가 특론 (Special Topics in Nuclear Reactor | 내부, 화재, 침수, 지진 리스크 평가 등의 고등 리스크 분석 주제를 다룬다. 부가적으로, 고장수목 정량화 방법을 다룬다. | |
결정론적 안전성평가 (Deterministic Safety Evaluation) | 결정론적 안전성평가에 사용되는 가정사항, 초기조건, 코드 모델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설계기준사고 및 설계확장조건에 대한 해석 수행 과정을 학습한다. | |
열수력 | 원자로 열전달 특론 (Special Course on Reactor Heat Transfer) | CFD에 기반한 향상된 열해석 기법을 학습하고, 선정된 주요 열적 현상해석에 대한 평가 과정을 경험한다. |
원자력 계통 설계 특론 (Special Course on Nuclear Power Plant Design) | 원자력발전소의 전반적인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프로젝트 형태의 주어진 설계 업무를 통하여 상세한 설계 기술을 학습한다. | |
사고해석 특론 (Special Course on Nuclear Safety Analysis) | 계통해석 코드의 전반적인 이해와 대표적인 사고해석을 선택한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중대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설계 수단과 전략을 이해한다. | |
계통 열수력 해석 (Reactor Thermal-Hydraulics Analysis) | 전산유체 등의 해석 도구를 이용하여 열수력 해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주요 열수력 현상에 대한 상세 해석을 수행 경험을 확보한다. | |
원자로 다차원해석 (Reactor Multi-dimensional Analysis) | 계통 코드와 전산유체 코드의 결합에 필요한 기초 기법을 학습하고, 다차원 현상이 수반되는 열유체 현상의 해석을 통하여 적용 과정을 이해한다. | |
계통해석 코드의 이해 (Advanced Course on System Analysis Code) | 계통해석 코드의 지배방정식 구성 방법, 차분화 과정 및 해법을 이해하고, 주요 모델에 대한 상세 내용을 학습한다. | |
원자로 열수력 특론 (Special Course on Reactor Thermal-Hydraulics) |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 발생하는 주요 열수력 현상을 이해하고, 사고 해석에 필수적인 이상유동에 대한 심화 과정을 학습한다. | |
노심 | 중성자 수송이론 (Neutron Transport Theory) | 볼쯔만 중성자 수송방정식 이해 및 유도, 중성자 방향각 분할 방법, 유한 차분법을 이용한 중성자 |
원자로 노심 설계 특론 (Special Topics in Nuclear Reactor | 원자로 노심 설계 원리 및 방법론, 다양한 원자로의 개념 이해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 |
원자로이론 특론 (Special Topics in Nuclear Reactor Analysis) | 중성자 확산이론에서 노달방법론에 대한 원리와 다군 중성자속 생산 방법, 출력 재구성 방법, | |
중성자 수송평가 응용 (Neutron Transport Application) | MOC 방법론 및 이해, 정형화된 구조에 대해 MOC 방법 및 수렴 가속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기본적인 | |
방사선차폐 특론 (Special Topics in Radiation Shielding) | 방사선 차폐의 원리와 방법론, 다양한 구조물 및 재질에 대한 방사선 저감 원리를 학습하고, | |
몬테칼로 이론 및 응용 (Monte Carlo Theory and Application) | 몬테칼로 이론에 대한 이해, 랜덤변수 생산 원리, 입자의 이동 현상 모사, 다양한 공학 분야의 응용에 대한 소개를 하고 실질적인 공학적인 문제에 적용한다. | |
원자로 해석 (Nuclear Reactor Analysis) | 중성자 확산이론, 핵연료집합체 균질화 방법론, 다군에너지 반응단면적 축약이론, 중성자 감속이론 등에 대한 소개와 그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 |
발전소 해체 및 사후관리 (Plant Decomissioning and Post Management) | 발전소 해체 원리 및 방법론, 방사선 선원항 평가 및 관리, 핵연료 재임계 방지 및 수송 저장 원리, | |
방사선 | 응용 핵물리 (Applied Nuclear Physics) | 원자핵 구조 및 핵 반응에 대한 다양한 모델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핵물리학의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서 탐구하고 조사한다. |
핵안보 및 핵비확산 (Nuclear Safeguards and Nonproliferation) | 핵 기술의 개발과 핵안보, 핵 비확산을 둘러싼 역사적 사건들과 최근의 사회적 이슈들을 사회 정책적, 기술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접근하여 사회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6자 회담, 비핵화선언 등과 같은 각종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토론을 통해, 향후 정세와 상황들에 대처할 수 있는 가치관을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과연 원자력 발전과 같은 핵 기술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나아가, 지구의 핵 평화를 위해 전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본 강좌를 통해 조명해 보고자 한다. | |
방사선 영상 처리 (Radiation Imaging Methods) | 방사선을 이용한 영상 기술의 기본 원리와 다양한 영상 처리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방사선 영상을 응용한 기술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 동향 및 응용 분야에 대해서 조명한다. | |
방사선 계측기 개발 특론 (Radiation Detector Development) | 방사선 계측기 개발 기술의 최신 동향과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 소개하고, 핵계측 모듈 설계 및 계측기 신호 처리, 계측기 제작 공정에 관해 학습하고 계측기 개발 실습 또는 견학하는 기회를 가진다 | |
방사선 물리학 (Radiation Physics) | 원자력 비전공학과 출신의 대학원생 또는 타학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방사선 기초이론에 대한 개괄 및 응용 분야에 대해 소개하고, 연계 방사선 관련 과목을 학습할 수 있는 학문적 기초를 제공한다. | |
방사선 계측 및 응용 특론 (Advanced Radiation Measurements | 방사선 분야의 심화 과목으로 감마선 영상 및 속 중성자 계측, 핵물질 보안 탐색 및 핵 비확산의 기술적인 방법론에 대해서 소개하고, 방사선 계측 및 응용 분야의 최신 연구 경향과 그 원리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 |
운전 및 제어 | 원자로 운전 특론 (Special Topics in Nuclear Reactor Operation) | 원자로를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한 원자로특성시험, 주기시험절차, 출력분포 제어, 핵연료 건전성,수화학 제어방법 등 원자로 운전 전반에 대한 지식을 최신 동향과 사례 중심으로 학습한다. |
원전 데이터 및 지식공학 (Nuclear Plant Data |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운영/폐로 등 발전소의 수명주기동안 발생하는 데이터의 특성과 관리방법, 인허가/규제정보의 활용, QA, 설계검증 등 원자력발전소 전반에 관한 지식을 심화학습한다. | |
에너지공학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tics in Energy Industry) | 기계학습과 예측모델링 등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에너지산업 전반의 빅데이터 종류, 특성, 분석방법 등을 심화학습한다. | |
플랜트 시스템 센서 특론 (Special Topics in Power Plant | 원자로와 원자력발전소 주요 센서의 종류, 특성, 설계방법 등을 시스템 공학과 신호처리 방법론을 통해 심화학습하며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감시/진단 체계에 대한 경험을 확보한다. | |
시스템 제어 및 신호처리 (Systems,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 발전 플랜트의 동적모델링, 최적제어, 예측제어, 지능제어 등 첨단 제어이론과 웨이블렛, 압축센싱, Kalman 필터, H-infinity 필터 등 첨단 신호처리 방법론을 심화학습한다. | |
데이터기반 모델링 및 분석 (Data-driven Modeling, Prediction and Analysis) | 미분방정식이 아닌 데이터기반 모델링과 기계학습, 예측모델, 비선형성 분석, 이산수학, 고급선형대수, 비선형 최적화 등 공학자에게 필요한 고급 수학을 실제적용 사례 중심으로 학습한다. | |
안전여유도 및 불확실도 분석 (Safety Margin and Uncertainty Analysis) | 원자로 보호를 위한 안전여유도 설정방법과 안전관련 변수측정에 수반되는 불확실도의 정량화 방법, 비모수 통계, 보수성 설정, 안전설정치에 미치는 영향 등을 학습한다. | |
원자로 제어 및 신호처리 (Reactor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 원자로와 원자력발전소 운전제어 방법을 이해하고 원자로보호/감시 방법론, 설계절차 등에 대한 심화학습과 중요 피드백 변수의 영향 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습한다. | |
기계 및 구조 | 파괴역학 특론 (Advanced Fracture Mechanics) | 원자력 발전소 압력용기 및 배관에 발생하는 균열의 파괴 거동에 대해 교육한다. 취성파괴에대한 선형 탄성 파괴역학 해석, 연성파괴에 대한 탄소성 파괴역학 해석, 완전 소성 붕괴에 대한 한계하중 해석과 같은 해석 및 실험적 평가 방법론에 대해 교육하고, 실제 사례에 대해 적용하여 균열체의 구조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파괴를 예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손상역학 특론 (Advanced Damage Mechanics) | 피로, 응력부식균열, 열취화, 조사취화 등 원자력 발전소 재료 및 기기에 발생하는 경년열화 관련 손상을 평가하는 역학적 방법론을 교육한다.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손상해석을 간단한 예에 대해 시범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실제 적용 사례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 |
피로공학 특론 (Advanced Fatigue Engineering) | 원자력 발전소 내 기기에 발생하는 피로 누적 손상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론과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해 교육한다. 피로균열 발생 평가 방법론을 교육하여 피로를 감안한 기기 설계 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피로균열 성장 평가 방법론을 교육하여 가동중 검사시 발생한 균열의 피로균열 성장을 평가하는 가동중 건전성 관리 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또한, 피로 손상을 완화 또는 예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
공동 | 세미나 1, 2 (Seminar) |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논문 주제에 대하여 대학원 학생이 연구 발표를 함으로 연구자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석사논문연구 1, 2 (Master’s Thesis Research I, II) |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 |
박사논문연구 1, 2, 3, 4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I, II, III, IV) |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