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트라이볼로지 연구실
생체역학 및 트라이볼로지 연구실은 인체의 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관절/치과용 생체재료의 기계적 안전성 평가와 세포 및 생체조직의 기계적 물성치 평가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인공관절 및 치과용 임플란트의 설계, 보행분석 등을 타 기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2A호 / 이권용 교수
최적구조설계 연구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2B / 장강원 교수
근골격생체공학 연구실(생산공학 연구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4A호 / 임도형 교수
컴퓨터 응용설계 연구실
CAD 연구실 (CAD Lab.)본 연구실의 주된 연구분야는 자동차, 전자제품, 항공기등과 관련된 제조산업이나 의료, 문화 , 게임 등 그래픽
서비스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설계 기술과 컨텐츠 생성 기술을 개발/발전 시키는데 있다. 향후의 모델링 기술 연구방향으로 기존의
geometric modeling 기술 토대위에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 네트워크 기술, 감성공학 기술, 인공지능 기술, 영상처리 기술등을
융화시켜서 발전 시키고자 한다. 연구실의 세부 연구영역은 surface & polygon-based modeling, network
technology for design, advanced medical image processing, knowledge-based
design, high precision inspection technology 를 포함한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4B / 전용태 교수
자동제어 연구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4C / 곽관웅 교수
열공학 실험실
본 실험실에서는 열전달(Heat Transfer)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상변화(Phase
Change)현상과 관련된 연구와 에너지 저장과 수송에 관한 연구, 그 외 Casting, CVD, PDP, RTP 등 열전달 현상이 관련된
다양한 공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부각되고 있는 micro-nano scale 에서의 열전달 해석을 통해 반도체 내의
열전달 현상(phonon 전달)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5A / 정재동 교수
연소 및 추진 실험실
연소 및 추진 실험실에서는 동력발생을 위해 수반되는 연소 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연소과정의 응용을 통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 될 수 있는 기초적이지만 핵심적인 기술을 생산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5B / 손채훈 교수
열시스템 제어 실험실
열시스템 제어 실험실은 열원 (thermal resources) 을 이용한 에너지 활용 , 냉난방 등에 적용되는 각종 기계 시스템을 에너지 절약
, 쾌적한 감성 및 요구 제어성능의 관점에서 만족스러운 작동을 구현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전자제어기를 설계 제작하며 시험
개발하는 산업지향의 실용화 연구실이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5C / 신영기 교수
통합 역학 전산 연구실
본 연구실에서는 고성능전산해석(High-Performance Computing)을 이용한 시스템 해석 및 설계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전산유체역학(CFD)와 전산고체역학(CSD)를 연계한 통합전산역학(Multi-Physics Simulation)에 중점을 둔다. 또한 대용량
전산해석을 위하여 병렬계산(Parallel Computing)을 연구한다. 중점연구내용은 유동유발진동, 충격 및 진동, 충동역학, 고성능 병렬
프로그램 개발 및 생체유체 전산해석 등이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006B / 이민형 교수
에어로졸 및 입자공학 연구실 (Aerosol & Particle Technology Lab.)
기체 내 부유하고 있는 액상 및 고상의 입자를 에어로졸이라 한다. 특히,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와 같은 부유미생물은 바이오에어로졸 또는 바이오미세먼지로 분류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기계공학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과 융합하며, 유체에 의해 확산/이동될 수 있는 초미세먼지 및 생물학적 위해성을 갖는 유해미생물의 실시간 탐지, 연속 모니터링을 위한 입자 포집, 전처리, 측정 및 신호처리 등, 관련 핵심요소 기술 개발과 기능성 나노구조체 합성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중 오염물질 저감제어 기술을 개발한다.
세종대학교 충무관 1106B / 정재희 교수 (Prof. Jung, Jae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