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목소개

열역학 (Thermodynamics) / 3시간, 3학점
에너지의 변환과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열역학의 기본적인 법칙과 원리를 학습한다. 열
역학의 기본 법칙으로서 에너지 보전, 엔트로피 관계식과 이상기체, 수증기 등의 물질의 상태식을 이
해한다. 이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거나 동력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변환 시키는 각종의 동
력사이클과 냉동사이클에 대하여 공부한다. 관련 내용을 실험을 통해 확인 이해한다.

고체역학 (Solid Mechanics) / 3시간, 3학점
공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계 및 기본 부재(봉, 보, 축 및 기둥)등의 해석과 설계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개념인 응력 변형률, 기계 재료의 기계적 거동 등을 학습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사용한 실제 구조물의 설계 시 발생하는 재료의 파괴 및 피로에 대한 기준을 제공함으로서 기본적인
기계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이론적으로만 학습해온 응력, 변형률 및 재료
의 파괴현상 등을 실제 사용하는 부재에 따라 실험 및 실습을 통하여 측정하고 보고서를 작성함으로
써 기계기술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

기계제도및CAD (Mechanical Drawing & CAD) / 3시간, 3학점
기계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기 위한 공통언어인 기계제도의 기본 규칙을 배양시키고, 이를 근간
으로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원/3차원 모델링 능력을 키운다.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 3시간, 3학점
질량,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법칙을 적용하여 유체와 구조물 사이에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을 설명한
다. 비압축성 유동에 중점을 두며 차원해석과 상사법칙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현상을 다루어 본다.

동역학 (Dynamics) / 3시간, 3학점
질량체, 강체 및 변형체의 동적인 특성을 중점으로 배운다. 즉, 물체들 간의 상대운동 또는 일과 에
너지를 다루게 된다. 충격현상과 충격시의 운동량의 변환을 배우게 한다.

기초설계 (Basic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 3시간, 3학점
창의성 개발과 개념 설계를 위한 기초 내용을 학습한다. 설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창의적 설계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공학인의 소양, 공학적 문제의 정의, 아이디어 창출,
팀웍, 의사소통, 시각화 등에 대해서 학습하며, 이와 같은 설계 요소를 반영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 3시간, 3학점
기계공학분야의 기본적인 문제를 수치해석으로 풀어본다. 주요강의 내용은 n차의 메트릭스를 풀어
보고, 보간법(interpolation), 수치적분과 미분, 그리고 상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다룬다. 이를 기
초로 기계공학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기계제작법 (Manufacturing Processes) / 3시간, 3학점
기계제작법은 소재를 유용하고 유익한 제품으로 변형시키는 학문으로서, 생산비용과 생산성에 깊은
관련성이 있으므로 고능률적이며 경제적인 제작법을 공부한다. 기계제작법에서는 절삭과 비절삭공정의 중요한 두 분야에 대하여 공부한다.

재료거동학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 3시간, 3학점
공학에서 사용되는 금속, 세리믹, 고분자, 복합재료, 등 여러 재료의 원자배열, 결합, 화합물의 미세
구조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각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강의한다.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다루며
탄성, 소성변형과 재료의 다축 응력하의 항복과 파괴 기준, 균열재료의 파괴, 피로, 시간 의존 거동의
특성도를 다룬다.

기계진동학 (Mechanical Vibration) / 3시간, 3학점
일반기계구조물에서 일어나는 진동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 / 제어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즉 1자
유도계, 다자유도계의 고유진동수 및 모드현상 등을 해석적으로 구하는 방법과 진동실험법에 대해 학습한다.

유체기계 (Fluid Machinery) / 3시간, 3학점
유체역학에서 배운 내용을 기초로 유체기계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즉 수력 펌프, 밸브 및 파이프
등을 대상으로 이론을 적용한다.

열전달 (Heat Transfer) / 3시간, 3학점
열전달은 열에너지의 전달현상을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며 그 기본적인 전달형태인 전도, 대류 및 복
사의 물리적 개념과 이를 정량화할 수 있는 수학적 표현법을 공부하고 이로부터 유도되는 지배방정식의해를 구하기 위한 방법과 응용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내용으로는 정상 및 비정상 열전도, 내부 및 외부유동에서의 강제 및 자연대류, 복사열전달, 열교환기 등을 다룬다.

기계공학해석 (Mechanical Engineering Analysis) / 3시간, 3학점
기계공학과 관련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확률계산과 통계처리, 선형대 수식의 풀이
가 필요하다. 본 과목은 확률과 통계 및 선형대수학에 대한 학습을 다루고 있으며, 각 분야의 문제를풀기위한 기초 이론과 풀이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 내용으로 데이터분석, 확률이론, 수리통계, 곡선맞춤, 행렬, 벡터공간, 선형변환, 고유값과 고유벡터 등을 다룬다.

전자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onics) / 3시간, 3학점
부가가치가 높은 기계시스템에 필수적인 자동제어 장치의 기능을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전기
전자 이론에 대한 이해와 응용력을 키워야 한다. 본 교과과정은 그러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기회로, 자기와 응용, 반도체 및 전자회로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기계가공학 (Advanced Machining Processes) / 3시간, 3학점
초정밀가공, 나노가공, 복합가공, 신소재가공, 환경친화적인 응용가공 기술과 일반공차, 형상공차
및 표면거칠기 원리을 공부한다. 정밀가공 및 공차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다.

기계요소설계 (Machine Elements Design) / 3시간, 3학점
기계요소 설계를 위한 제반 지식을 습득하여 실제 제품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배양하는 과
목이다. 기계요소설계 분야에 있어서는 응력, 변형, 구조 강성, 정적 하중과 변동 하중에 의한 파손 방지이론, Screw, Fastener, 용접부 등의 체결부 설계, Spring, Bearing 등의 설계 이론을 강의한다.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 3시간, 3학점
기계장치 및 시스템을 자동화하거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제어이론 및 응용을 다룬다.
피드제어 시스템의 특성,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성능, 안정성 해석과 근궤적 기법, 주파수 응답 기법
등 설계 기법을 실제 문제를 통하여 익힌다.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시스템설계 소프트웨어인 MATLAB도 소개한다.

메카트로닉스 (Mechatronics) / 3시간, 3학점
전기전자공학개론에서 학습한 전기회로 및 아날로그 전자공학을 기반으로, 디지털 전자공학의 기초
및 설계, 피드백 제어 및 디지털 제어 시스템, 다양한 서보모터의 원리 및 모션제어 시스템, 컴퓨터 인터페이싱,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초한 기계시스템의 설계 등의 주제를 강의, 실습, 프로젝트 등을 통해서 학습한다.

응용기계설계 (Applied Mechanical Design) / 3시간, 3학점
본 과목에서는 기계의 구성 및 기구의 이해를 통하여 기계운동학(기구학) 이론에 근거한 기구 설계
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계 링크 시스템, 기어, 캠 등의 운동, 속도, 가속도의 해석과 응용을
다자유도의 창의적 설계 및 제작을 실제로 수행함으로써 기구설계를 위한 기초 및 응용 지식을 학습
힌다.

열유체응용설계 (Thermal/Fluid System Design) / 3시간, 3학점
열유체 제품 기획 및 과제 규명, 개념설계, 구체설계, 상세설계 등의 체계적인 공학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케 하며, 분산된 환경에서 협업하여 공동 설계하는 방법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에너지공학 (Energy Engineering) / 3시간, 3학점
에너지의 전환과 최종이용에서 나타나는 각종 방식을 비교하고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
동향을 알아본다. 신재생에너지의 이해와 활용을 학습한다. 종합적으로 에너지 변환, 에너지 저장, 에너지수송과 에너지 시스템의 최적설계 등을 학습한다.

응용열역학 (Applied Thermodynamics) / 3시간, 3학점
열역학에서 이수한 순수물질의 성질, 열역학의 기본법칙을 열기관 및 냉동사이클, 혼합물의 성질,
화학반응 등으로 확장, 적용함으로써 열시스템에 대한 해석 능력을 배양한다. 동력 및 열을 생산하는
에너지 시스템의 기본 원리 및 시스템 구성 응용 사례, 성능 최적화를 위한 개념 및 기본 설계 능력 확보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한다.

통합기계설계1 (Capstone Design1 of Mechanical Systems) / 3시간, 3학점
학부과정에서 배운 이론, 설계 및 실습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하는 전과정을 경험
토록 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설계과목이다. 통합기계설계2의 선행과목으로 수행한 작품 기획, 시장조사, 기초 및 상세설계를 구현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의 결과물은 계속하여 통합기계설계 2 과목으로 연계되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시제품으로 완결되며 설계 프로젝트는 조 또는 개인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세설계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설계담당 교수와 수시로 문제점을 함께 토의하고 발표를 통해 평가를 받는다.

특수가공학 (Non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es) / 3시간, 3학점
특수가공 프로세스와 가공을 포함한 과학적, 공학적 지식을 소개하며, 전해가공, 입자유동가공, 극
청정가공, 방전가공, 자기전해폴리싱가공, 레이저가공, 워터젯가공 및 입자유동가공등 비접촉 및 전
기화학적인 특수가공법에 대하여 학습하고 최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개발공법을 다룬다.

복합재료역학(Mechanics of Composites) / 3시간, 3학점
복합재료의 역사, 복합재료에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률 간의 구성방정식, 고전 적층판 이론을 사용한
재료의 인장, 굽힘 거동, 복합재료의 파괴에 대한 이론 학습을 통하여 실제 사용되는 복합재료에 대한 설계 등을 학습한다.

기초유한요소법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Method) / 3시간, 3학점
기계요소 또는 구조물 등의 설계를 위한 응용역학의 기초 과정으로서 복합적인 구조의 설계와 해석
을 위한 기본 구조물의 해석에 필요한 기초 이론을 확립하고 응용기법의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수행을 통해 실제 문제풀이의 응용력을 제고시켜 실제 구조물 설계를 위한 기초를 확립하는데 목표를 둔다.

로보틱스 (Robotics) / 3시간, 3학점
로봇 머니퓰레이터의 해석 및 설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로봇기구학(동차변환 및 역기구학, 속도기구
학), 정역학, 동역학(순동역학 및 역동역학), 궤적계획 및 생성,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산업용 로봇의
액츄에이터 및 센서, 로봇 제어의 분야에 대해서 강의한다

공기조화및냉동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3시간, 3학점
냉동 및 공기조화 설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열 및 유체역학의 기본 법칙에 근거하여 공
기조화시스템을 이해한다. 습공기 계산, 습공기 과정 및 습공기 선도, 냉난방 부하와 에너지 소요량 산정,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송풍기 및 덕트 시스템, 펌프 및 배관시스템 등에 대한 기초 이론을 다룬다. 냉동사이클의 원리를 응용한 냉동시스템에 대해 공부한다.

열공정해석 (Thermal Process) / 3시간, 3학점
학사과정에서 습득한 열역학, 유체역학 및 열전달의 지식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열공정들, 예를 들면 절단, 용접, 주조, 단결정성장, 전자냉각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실제 문제 해
결 과정, 공정의 모델링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연소공학개론 (Introduction to Combustion) / 3시간, 3학점
연소에 관한 열화학적 기본이론 및 화염전파, 화염속도, 화염구조의 해석과 연소현상의 공학적 응용
을 다룬다. 연소의 응용으로서 상용 연소기에서의 연소특성을 익힌다.

통합기계설계2 (Capstone Design 2 of Mechanical Systems) / 3시간, 3학점
학부과정에서 배운 이론, 설계 및 실습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을 기획, 설계, 제작하는 전과정을 경험
토록 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설계과목이다. 통합기계설계1 후속과목으로서 선행과목에서 수행한 작품 기획, 시장조사, 기초 및 상세설계를 시제품으로 구현하는 과목이다. 시제품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이며 설계 프로젝트는 조 또는 개인별로 진행될 수있다. 시제품 제작 과정에 대하여 설계담당 교수와 수시로 문제점을 함께 토의하고 발표를 통해 제작과 정에 대하여 평가를 받는다.

신제품개발방법론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 3시간, 3학점
성공적인 제품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학습하고 고객의 Needs 조사 방법, 제품
사양 확립 방안 (QFD), 개념설계, 상세설계, 설계평가 등 체계적인 공학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지식을 습득한다.

최적설계 (Structural Optimization) / 3시간, 3학점
공학설계에 사용되는 수치 최적화 이론에 대하여 배운다. 이를 사용하여 실제 기계구조물에 대한 최
적 설계를 수행하기로 한다.

트라이볼로지 (Tribology) / 3시간, 3학점
트라이볼로지는 상대운동을 하는 두 접촉 표면에서 관찰되는 모든 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학
문분야이다. 이에는 마찰, 마멸 그리고 윤활의 영역이 있다. 기계, 재료, 물리, 화공, 등의 학문체계를
사용하여 마멸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분자간의 응착력에 대한 해석에서 부터, 재질의 특성, 윤활제의 화학적, 기계적인 특성, 그리고 윤활장치의 설계와 관리 등이 포함된다.

내연기관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3시간, 3학점
엔진의 원리를 알아보고 작동시의 조건을 공부한다. 오토 및 디젤형의 왕복 기관에 대한 성능, 사이
클의 열역학, 흡배기계, 연료분사계, 연소과정, 연료, 배출가스 및 정화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을 공부한다.

마이크로-나노기계공학 (Micro-Nano Mechanics) / 3시간, 3학점
마이크로/나노스케일 구조에서는 매크로스코픽한 많은 경험법칙이 적용되지 않고 새로운 물리현상
에의해 지배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그 적용에 대한 강의
를 진행한다.

전산열유체역학 (Computational Heat and Fluid Dynamics) / 3시간, 3학점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학에서 발생하는 열유동과 유체유동을 해석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을 학습한다. 차분화, 정상, 비정상, solver 등에 관한 내용을 익힌다. 열유체 현상을 해석하는 구체적인 적용 예를 학습한다.

제조공정설계 (Manufacturing Process Design) / 3시간, 3학점
본 과목은 제품의 제작에 있어서 가장 고능률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품의 품질,
수량, 비용과 납기를 고려하여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최적 공정의 설계와 유용한 공작기계의 선정 및
공구, 고정구의 공정설계 능력을 기른다.

생체역학 (Biomechanics) / 3시간, 3학점
인간, 동물, 식물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기계공학
의 주요분야인 고체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동역학, 응용역학을 활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의
역학적 특성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한다.

자동차공학 (Automotive Engineering) / 3시간, 3학점
본 과목은 자동차 섀시의 개요, 동력 전달장치, 현가장치, 조향장치, 휠 얼라인먼트, 선회성능, 제동
장치 및 섀시 신기술에 대하여 기계공학과 전공 교과목인 동역학, 고체역학 등의 관점에서 다룬다.
기계공학인턴쉽1,2 (Mechanical Engineering Internship 1,2) / 3시간, 3학점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토대로 현장실무를 경험하며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졸업 후 진로탐색에 도움
을 줄 수 있도록 한다.

기계공학과세미나 (Mechanical Engineering Seminar) / 3시간, 3학점
기계공학 및 관련분야에 관한 다양한 전문분야의 강연 및 4학년 학생들의 취업진로선택을 위한 기
업체, 우수동문을 초청하여 다양한 강연을 통해 학생들에게 졸업 후의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