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ctivities

 

Research interests

텔레비전과 역사문화연구, 포털, 드론(영상), OTT와 AI 미디어, 서사극, 몰아보기... 복잡계 네트워크



2024

2024. ‘친절한일본순사는 재현 가능한가?: OTT 드라마 리얼리티와 수용자 자원론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681, 5-46. (Is it possible to reproduce a friendly Japanese-imperialist constable?: An exploratory inquiry into the reality of OTT drama and audience resour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68(1), 5-46.

 

2024. 玄武岩ほか(2024).グローバルな物語時代歴史表象:「PACHINKOパチンコ植民地主義記憶青弓社. 현무암 외 편(2024). <글로벌 서사 시대의 역사표상:PACHINKO파친코가 잇는 식민지주의의 기억>, 세이큐샤(2. 22).

 

2024. 임종수·유승현. 시뮬라시옹 서사, ‘소라가 쏘아올린 거대한 공: 동영상 생성 AI 소라(SORA)의 기술미학과 콘텐츠 산업, 2024 한국언론학회 봄철 학술대회(미래를 준비하는 100년 언론학 성찰과 전망의 경주제전), 202459-11, 경주화백컨벤션센터.

2024. 유승현·임종수. 딥러닝 기반 OTT 콘텐츠 분류모델 연구: 넷플릭스 데이터를 중심으로, 2024 한국언론학회 봄철 학술대회(미래를 준비하는 100년 언론학 성찰과 전망의 경주제전), 202459-11, 경주화백컨벤션센터.

2024. 김승한·유승현·임종수. OTT 데이터 수집·분석 시스템 구축과 AI 활용성: 넷플릭스 데이터를 중심으로, 2024 한국언론학회 봄철 학술대회(미래를 준비하는 100년 언론학 성찰과 전망의 경주제전), 202459-11, 경주화백컨벤션센터.

2024. 임종수·이서라. 글로벌 OTT의 콘텐츠 현지분리창작, 2024 한국방송학회 봄철 학술대회, <2024 미디어 오디세이: AI 시대의 사실과 혁신>(pp.148-150), 2024419-20, 강릉세인트존스호텔.


2023

2023. 글로벌 OTT, 플랫폼 리얼리즘의 세계: OTT 서사극과 호모 사케르의 분투, <커뮤니케이션이론>, 191, 5-83.(2월 22일)

2023. 서울대 독일어문화권연구소 강연, OTT 콘텐츠와 21세기 미디어 문화의 지형, <디지털 시대의 문화와 문화산업>, 2023. 08. 23.

2023. 복잡계와 OTT 미디어의 탄생, 2023 융합연구 성과발표회 및 공동학술대회, 제주도 제주시 오션스위츠호텔. 427-29.

2023. 왜 복잡계 네트워크인가?: OTT와 인터페이스 미디어, 2023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다시, 언론의 자유와 책임 그리고 언론학), 제주도 신화월드, 519-20


2022(연구년)

2022. 인터넷 모델의 기원과 플랫폼 정보 서비스 규제 프레임 연구: OTT 제도화에 대하여, <방송통신연구> 2022년 특집호, 123-156.

2022. 디지털 미디어 시론: 청각 미디어의 디지털화와 그 인터페이스, <방송문화연구>, 342, 47-80.

2022. <한류, 테크놀로지, 문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04. 29)

2022, <오징어게임과 콘텐츠 혁명>,  인물과사상사(02. 28)

2022. OTT와 플랫폼 리얼리즘: 역사 쓰기의 새로운 국면, 와 역사적 리얼리티를 이야기하다>, 한일국제세미나(pp.9-42), 2022820, 일본 홋카이도대학(한국언론학회/홋카이도대학 대학 공동 주최.

2022. OTT는 왜 웹툰 콘텐츠를 좋아할까?, 2022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학술대회(주제, 들여다보기와 내다보기) 발표문, 2022527(), 통영 금호통영마리나리조트.

2022. 21세기 미디어, 인터넷 모델의 기원과 뉴 노멀의 커뮤니케이션(), 2022 한국언론학회 봄철학술대회(주제, 무한 매개 사회의 뉴노멀) 대주제 발표문. 2022520, 충남 공주대학교.

2022. 정치적 대결 이후 정보의 선택적 주의와 선택적 노출: 20대 대선 결과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이용경향 탐색, 2022 한국언론학회 봄철학술대회(주제, 무한 매개 사회의 뉴노멀), 2022520, 충남 공주대학교(우수논문상).

2022. 레거시 미디어 모델에서 인터넷 모델로: ‘표현창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정책 방향, 한국언론학회 미디어정책특별위원회 3차 기획 라운드테이블, <언론본질 회복을 위한 차기 정부의 미디어 정책 방향을 논하다>(2022. 04. 20, 미디어교육원)


2021

2021. , 영광과 도전>, 플랫폼의 시대, 지상파의 길, 한울(11. 25).

2021Pickard, V. & Berman D. E. (2019). After net neutrality: A new deal for the digital age, Yale University Press, 임종수·유용민 역 (2021). <디지털 시대의 뉴딜: 망 중립성 이후의 인터넷>, 팬덤북스(2021630). 

2021. 청소년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뉴미디어 활용과 정보인권침해 인식 간의 시계열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82호, 5-42.

2020

2020, <저널리즘 모포시스>, 팬덤북스(11. 30)

2020, AI 미디어와 의인화: AI 음성 대화형 에이전트의 의인화 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언론학보>, 644, 436-470(2020. 08).


2019

2019, <넷플릭스의 시대>(역), 팬덤북스(09. 27), Cory Barker & Myc Wiatrowski (2017). The Age of Netflix, MCF.

2019, Mediatic turn and an emergence of new generation in media research, AEJMC(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Toronto, Canada, August 7-10, 2019.

2019, Exploring Networks and Communities: A Case Study of the Supporters and Critics Facebook Pages of the Philippine President.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s, 4(3), 1485-1502.

2019,  <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10. 17)

2019, <드론촬영의 이해>(공저), 21세기사(01. 15)



2018

2018, <미디어빅데이터분석>(공저), 21세기사 (2018. 01).

2018, 오토마타 미디어 , <언론과사회> 264, 1-55 (2018. 12).

2018, '혁신없는' 로봇 저널리즘: 자동화된 저널리즘 양식화를 위한 제언을 담아. <방송통신연구>, 102, 103-136 (2018. 07).

2018, 드론영상의 보기양식과 하이퍼 리얼리티 연구. <방송문화연구> 302, 73-109 (2018. 12) 

 

2017

2017. ‘탈언론미디어의 등장과 그 양식, 그리고 공공성: 알고리즘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언론정보학보> 86, 116-147 (2017. 12).

2017. 영상 드론의 운동성과 보기 양식에 관한 소고, <커뮤니케이션이론> 133, 50-85 (2017. 09).

2017. AI 로봇 의인화 연구 : ‘알파고 보도의 의미네트워크분석 . <한국언론학보 > 61(4), 111-142. (2017. 08) https://doi.org/10.20879/kjjcs.2017.61.4.004

2017. The 4 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ergence of algorithmic media: Changes in media form and cultural shock, New Physics: Sae Mulli , 67(5), 530-541. (May 31, 2017). https://doi.org/10.3938/NPSM.67.530

 

2016

2016. Social media and flu: Media Twitter accounts as agenda set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91, 67-73 (JUL 2016 출판 ).

2016. 드라마에 대한 주목의 생애와 SNS 유력자에 관한 연구 : KBS 드라마 <프로듀사 >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4, 343-387 (2016. 12 발행 ).

2016. 디지털 TV 에서의 수용경험과 순환에 관한 연구: 가족 TV, 개인 TV, 우리 TV, 나의 TV,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74, 5-52 (121일 발간).

2016. 모나돌로지와 컴퓨터 연산 사회과학으로서의 미디어 연구, <언론과사회>, 244, 5-52 (2016. 11 발행).

2016. 남편찾기와 완고한 수용자, <한국방송학보> 305, 223-263 (2016. 9 발행)

 

2015

2015. Barriers and Incentives to DTV Over the Air Antenna Adoption: Five years after the 2009 transitio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an Juan, Puerto Rico.

2015. 디지털 TV 의 양식성: 형식, 존재, 수용, <커뮤니케이션이론>, 112, 18-55 (2015. 06. 15 발행).

2015. 드라마와 SNS 유력자들: 드라마 <프로듀사 >에 대한 트위터 발언자, 매개자, 교섭자, 피인용자, 위세자 분석, <한국언론학보>, 596, 417-445 (2015. 12. 31 발행).

 

2014

2014. Tweeting flu and setting agenda on Twitter network.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Montreal, Canada.

2014. Local vs. Hyperlocal newspaper: Community actor perception, readership, and advertising effects.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Montreal, Canada.

2014. 정부조직의 온라인 미디어화 연구: 운영주체, 콘텐츠,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 <방송통신연구>, 2014년 가을호 (통권 88), 47-77 (2014. 10. 15 발행).

 

2013

2013. 지역방송의 글로컬 콘텐츠 기획과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미디어경제와문화>, 111, 47-87 (2013. 2. 25 발행).

2013. 지상파 EBS 편성 연구: 지식채널 장르와 영역 분화의 성과와 한계, <한국방송학보>, 273, 130-171.

2013.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1970년대, <한국문학연구> 44, 91-135 (2013. 6. 30 발행).

 

2012

2012. 1970 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인물과 미디어 비평: 아씨며 새엄마며 이유없는 복종에 분노를 느껴라, <언론과사회> 204, 132-178 (2012. 11. 30 발행)

 

2011

2011. 교양 다큐멘터리 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용방안 연구, 미디어경제와문화91, 7-45 (2011. 02. 25 발행)

2011. 지역문화브랜딩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방송 콘텐츠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111, 5-42 (20113 20일 발행).

2011. 촛불과 미디어: 컨버전스 미디어 양식과 개인화된 대중의 출현, 현상과인식, 351/2(통권 113 ), 97-124 (2011. 5. 31 발행).

2011. 현실-가상세계 컨버전스 시대의 삶의 양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82, 53-98 (2011. 6. 30 발행)

2011. KBS 프로그램의 역사: 국가만들기 양식, 방송문화연구, 231, 109-139 (2011. 6. 30 발행)

2011. 일요일의 시보, <전국노래자랑 > 연구: 기원과 양식, 진화, 미학, 그리고 동시대성과 민족국가, 언론과사회 194, 2-40 (2011. 11. 30 발행).

 

2010

2010. 수용자의 탄생과 경험: 독자, 청취자, 시청자. 언론정보연구, 471, 77-120 (2010228일 발행).

2010. 드라마 테마파크 활성화에 관한 연구: 프랑스 퓌뒤푸사례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221, 147-172 (2010630일 발행).

2010. 지역방송인들의 신지역주의 전략에 대한 인식연구. 방송통신연구2010년 가을호 , 103-129 (2010. 10. 20 발행).

 

2009

2009. 쇼를 하라: 영상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연구, 언론과사회, 174, 2-47(20091130일 발행).

 

2008

2008. 1970 년대 텔레비전, 문화와 비문화의 양가성. 언론과사회, 161, 49-85(2008. 2. 28 발행)

2008. The Emergence of Self Media and Formation of Opinion, Korea Journalism Review, 2(4), 167-172.

2008. 포털사이트 뉴스 이용행태 연구, 미디어와공연예술연구3, 90-126 (200812월 발행).

 

2007

2007. HLKZ-TV, 텔레비전과의 조우, 언론과사회152, 57-96 (2007. 5 . 31 발행).

2007. 포털미디어에 의한 뉴스 미디어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한국언론학보, 514, 437-465 (2007. 8. 30 발행).

2007. 디지털 시대의 지식사회학: EBS <지식채널 e> 읽기, 프로그램/텍스트16, 165-176 (2007. 7. 25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