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graduate.sejong.ac.kr/index.do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 점 | 시간수 | 학위과정 | 비 고 |
---|---|---|---|---|---|
1 | 석사논문연구1 | 3.0 | 3 | 석사 | |
2 | 석사논문연구2 | 3.0 | 3 | 석사 | |
3 | 박사논문연구1 | 3.0 | 3 | 박사 | |
4 | 박사논문연구2 | 3.0 | 3 | 박사 | |
5 | 박사논문연구3 | 3.0 | 3 | 박사 | |
6 | 박사논문연구4 | 3.0 | 3 | 박사 | |
7 | 고급실시간렌더링 | 3.0 | 3 | 공통 | |
8 | 고급컴퓨터구조 | 3.0 | 3 | 공통 | |
9 | 시스템시뮬레이션개론 | 3.0 | 3 | 공통 | |
10 | 디지털통신개론 | 3.0 | 3 | 공통 | |
11 | 머신비젼개론 | 3.0 | 3 | 공통 | |
12 | 데이터마이닝특론 | 3.0 | 3 | 공통 | |
13 | 고급인간과컴퓨터 | 3.0 | 3 | 공통 | |
14 | 객체지향DB특론 | 3.0 | 3 | 공통 | |
15 | 성능분석특론 | 3.0 | 3 | 공통 | |
16 | 실시간시스템특론 | 3.0 | 3 | 공통 | |
17 | 멀티미디어통신특론 | 3.0 | 3 | 공통 | |
18 | 디지털방송개론 | 3.0 | 3 | 공통 | |
19 | 디지털방송특론 | 3.0 | 3 | 공통 | |
20 | 컴퓨터비젼특론 | 3.0 | 3 | 공통 | |
21 | 전문가시스템특론 | 3.0 | 3 | 공통 | |
22 | 웨이브릿응용특론 | 3.0 | 3 | 공통 | |
23 | 로보틱스특론 | 3.0 | 3 | 공통 | |
24 | 소프트웨어공학특론 | 3.0 | 3 | 공통 | |
25 | 컴퓨터구조특론 | 3.0 | 3 | 공통 | |
26 | HCI특론 | 3.0 | 3 | 공통 | |
27 | 멀티미디어응용특론 | 3.0 | 3 | 공통 | |
28 | 운영체제특론 | 3.0 | 3 | 공통 | |
29 | 가상현실특론 | 3.0 | 3 | 공통 | |
30 | 고급정보검색 | 3.0 | 3 | 공통 | |
31 | 시과학개론 | 3.0 | 3 | 공통 | |
32 | 생체인식개론 | 3.0 | 3 | 공통 | |
33 | 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개론 | 3.0 | 3 | 공통 | |
34 | 지식기반시스템특론 | 3.0 | 3 | 공통 | |
35 | 고급확률프로세스 | 3.0 | 3 | 공통 | |
36 | 고급정보보호 | 3.0 | 3 | 공통 | |
37 | 실시간렌더링특론 | 3.0 | 3 | 공통 | |
38 | 패턴인식개론 | 3.0 | 3 | 공통 | |
39 | 고급알고리즘 | 3.0 | 3 | 공통 | |
40 | 신경망특론 | 3.0 | 3 | 공통 | |
41 | 고급패턴인식 | 3.0 | 3 | 공통 | |
42 | 멀티미디어특론 | 3.0 | 3 | 공통 | |
43 | 고급디지털신호처리 | 3.0 | 3 | 공통 | |
44 | 고급수치해석 | 3.0 | 3 | 공통 | |
45 | 애니메이션이론세미나 | 3.0 | 3 | 공통 | |
46 | 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1 | 3.0 | 3 | 공통 | |
47 | 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2 | 3.0 | 3 | 공통 | |
48 | 디지털콘텐츠세미나1 | 3.0 | 3 | 공통 | |
49 | 그래픽스모델링특론 | 3.0 | 3 | 공통 | |
50 | 디지털영상편집스튜디오특론 | 3.0 | 3 | 공통 |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 점 | 시간수 | 학위과정 | 비 고 |
51 | 놀이문화특론 | 3.0 | 3 | 공통 | |
52 | 게임이론세미나1 | 3.0 | 3 | 공통 | |
53 | 디지털콘텐츠마케팅특론 | 3.0 | 3 | 공통 | |
54 | 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3 | 3.0 | 3 | 공통 | |
55 | 게임심리학특론 | 3.0 | 3 | 공통 | |
56 | 컴퓨터그래픽스특론 | 3.0 | 3 | 공통 | |
57 | 데이터베이스특론 | 3.0 | 3 | 공통 | |
58 | 게임이론세미나2 | 3.0 | 3 | 공통 | |
59 | 디지털콘텐츠세미나4 | 3.0 | 3 | 공통 | |
60 | 게임분석특론 | 3.0 | 3 | 공통 | |
61 | 애니메이션연출특론 | 3.0 | 3 | 공통 | |
62 | 고급HCI | 3.0 | 3 | 공통 | |
63 | 게임마케팅론 | 3.0 | 3 | 공통 | |
64 | 3D애니메이션개론 | 3.0 | 3 | 공통 | |
65 | 디지털영상제작특론 | 3.0 | 3 | 공통 | |
66 | 응용영상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67 | 디지털영상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68 | 엔터테인먼트비즈니스특론 | 3.0 | 3 | 공통 | |
69 | 고급증강현실 | 3.0 | 3 | 공통 | |
70 | 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특론 | 3.0 | 3 | 공통 | |
71 | 실시간렌더링개론 | 3.0 | 3 | 공통 | |
72 | 인공지능특론 | 3.0 | 3 | 공통 | |
73 | 디지털영상처리특론 | 3.0 | 3 | 공통 | |
74 | 인간과컴퓨터개론 | 3.0 | 3 | 공통 | |
75 | 컴퓨터게임특론 | 3.0 | 3 | 공통 | |
76 | 고급컴퓨터비젼 | 3.0 | 3 | 공통 | |
77 | 고급컴퓨터그래픽스 | 3.0 | 3 | 공통 | |
78 | 고급지능형시스템 | 3.0 | 3 | 공통 | |
79 | 컴퓨터비전기반모델링특론 | 3.0 | 3 | 공통 | |
80 | 고급비사실적렌더링 | 3.0 | 3 | 공통 | |
81 | 디지털콘텐츠세미나3 | 3.0 | 3 | 공통 | |
82 | 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4 | 3.0 | 3 | 공통 | |
83 | 컴퓨터애니메이션특론 | 3.0 | 3 | 공통 | |
84 | 고급바이오인포매틱스 | 3.0 | 3 | 공통 | |
85 | 고급소프트웨어공학 | 3.0 | 3 | 공통 | |
86 | 패턴인식특론 | 3.0 | 3 | 공통 | |
87 | 의료영상처리특론 | 3.0 | 3 | 공통 | |
88 | 고급데이터베이스 | 3.0 | 3 | 공통 | |
89 | 생체인식특론 | 3.0 | 3 | 공통 | |
90 | 고급인공지능 | 3.0 | 3 | 공통 | |
91 | 시과학특론 | 3.0 | 3 | 공통 | |
92 | 고급데이터마이닝 | 3.0 | 3 | 공통 | |
93 | 고급응용영상처리 | 3.0 | 3 | 공통 | |
94 | 증강현실특론 | 3.0 | 3 | 공통 | |
95 | 고급디지털영상처리 | 3.0 | 3 | 공통 | |
96 | 고급지식기반시스템 | 3.0 | 3 | 공통 | |
97 | 게임디자인특론 | 3.0 | 3 | 공통 | |
98 | 기계학습특론 | 3.0 | 3 | 공통 | |
99 | 고급시스템분석 | 3.0 | 3 | 공통 | |
100 | 데이터마이닝개론 | 3.0 | 3 | 공통 |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 점 | 시간수 | 학위과정 | 비 고 |
101 | 무선네트워크개론 | 3.0 | 3 | 공통 | |
102 | 3차원신호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103 | 3차원신호처리특론 | 3.0 | 3 | 공통 | |
104 | 3차원의료영상특론 | 3.0 | 3 | 공통 | |
105 | 고급e-business시스템 | 3.0 | 3 | 공통 | |
106 | 고급가상현실 | 3.0 | 3 | 공통 | |
107 | 고급객체지향DB | 3.0 | 3 | 공통 | |
108 | 고급디지털방송 | 3.0 | 3 | 공통 | |
109 | 고급머신비젼 | 3.0 | 3 | 공통 | |
110 | 고급멀티미디어 | 3.0 | 3 | 공통 | |
111 | 고급멀티미디어DB | 3.0 | 3 | 공통 | |
112 | 고급멀티미디어응용 | 3.0 | 3 | 공통 | |
113 | 고급모바일컴퓨팅시스템 | 3.0 | 3 | 공통 | |
114 | 고급선형대수 | 3.0 | 3 | 공통 | |
115 | 고급성능분석 | 3.0 | 3 | 공통 | |
116 | 고급신경망 | 3.0 | 3 | 공통 | |
117 | 고급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 | 3.0 | 3 | 공통 | |
118 | 고급의료영상처리 | 3.0 | 3 | 공통 | |
119 | 고급의료영상특강 | 3.0 | 3 | 공통 | |
120 | 고급인터넷응용 | 3.0 | 3 | 공통 | |
121 | 고급전문가시스템 | 3.0 | 3 | 공통 | |
122 | 고급컴퓨터네트워크 | 3.0 | 3 | 공통 | |
123 | 고급패턴분류 | 3.0 | 3 | 공통 | |
124 | 고급프로그래밍언어 | 3.0 | 3 | 공통 | |
125 | 기계학습개론 | 3.0 | 3 | 공통 | |
126 | 네트워크분석개론 | 3.0 | 3 | 공통 | |
127 | 데이터베이스개론 | 3.0 | 3 | 공통 | |
128 | 디지털신호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129 | 디지털신호처리특론 | 3.0 | 3 | 공통 | |
130 | 머신비젼특론 | 3.0 | 3 | 공통 | |
131 | 멀티미디어DB개론 | 3.0 | 3 | 공통 | |
132 | 멀티미디어시스템개론 | 3.0 | 3 | 공통 | |
133 | 멀티미디어응용개론 | 3.0 | 3 | 공통 | |
134 | 멀티미디어통신개론 | 3.0 | 3 | 공통 | |
135 | 모바일컴퓨팅시스템개론 | 3.0 | 3 | 공통 | |
136 | 모바일컴퓨팅시스템특론 | 3.0 | 3 | 공통 | |
137 | 바이오인포매틱스특론 | 3.0 | 3 | 공통 | |
138 | 비쥬얼컴퓨팅특론 | 3.0 | 3 | 공통 | |
139 | 성능분석개론 | 3.0 | 3 | 공통 | |
140 | 수치해석특론 | 3.0 | 3 | 공통 | |
141 | 신경망개론 | 3.0 | 3 | 공통 | |
142 | 실시간로보틱스특론 | 3.0 | 3 | 공통 | |
143 | 영상통신개론 | 3.0 | 3 | 공통 | |
144 | 유비쿼터스미디어특론 | 3.0 | 3 | 공통 | |
145 | 유비쿼터스비쥬얼인터페이스개론 | 3.0 | 3 | 공통 | |
146 | 응용데이터베이스개론 | 3.0 | 3 | 공통 | |
147 | 응용데이터베이스특론 | 3.0 | 3 | 공통 | |
148 | 응용소프트웨어공학개론 | 3.0 | 3 | 공통 | |
149 | 응용영상처리특론 | 3.0 | 3 | 공통 | |
150 | 응용운영체제개론 | 3.0 | 3 | 공통 |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 점 | 시간수 | 학위과정 | 비 고 |
151 | 의료영상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152 | 인간과컴퓨터특론 | 3.0 | 3 | 공통 | |
153 | 인터랙티브그래픽스특론 | 3.0 | 3 | 공통 | |
154 | 전문가시스템개론 | 3.0 | 3 | 공통 | |
155 | 지식기반시스템개론 | 3.0 | 3 | 공통 | |
156 | 컴파일러특론 | 3.0 | 3 | 공통 | |
157 | 컴퓨터비젼개론 | 3.0 | 3 | 공통 | |
158 | 컴퓨터음악개론 | 3.0 | 3 | 공통 | |
159 | 패턴분류개론 | 3.0 | 3 | 공통 | |
160 | 패턴분류특론 | 3.0 | 3 | 공통 | |
161 | 퍼지이론특론 | 3.0 | 3 | 공통 | |
162 | 프로그래밍언어특론 | 3.0 | 3 | 공통 | |
163 | 프로젝트관리론개론 | 3.0 | 3 | 공통 | |
164 | 3D사운드특론 | 3.0 | 3 | 공통 | |
165 | 계산기하학특론 | 3.0 | 3 | 공통 | |
166 | 고급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 | 3.0 | 3 | 공통 | |
167 | 고급모션캡쳐및편집 | 3.0 | 3 | 공통 | |
168 | 고급사운드디자인 | 3.0 | 3 | 공통 | |
169 | 고급응용데이터베이스 | 3.0 | 3 | 공통 | |
170 | 고급컴퓨터게임 | 3.0 | 3 | 공통 | |
171 | 디지털사운드특론 | 3.0 | 3 | 공통 | |
172 | 디지털애니메이션분석특론 | 3.0 | 3 | 공통 | |
173 | 디지털영상특강 | 3.0 | 3 | 공통 | |
174 | 디지털영상합성특론 | 3.0 | 3 | 공통 | |
175 | 디지털오디오음성처리 | 3.0 | 3 | 공통 | |
176 | 디지털콘텐츠세미나2 | 3.0 | 3 | 공통 | |
177 | 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특론 | 3.0 | 3 | 공통 | |
178 | 물리현상특론 | 3.0 | 3 | 공통 | |
179 | 비사실적렌더링특론 | 3.0 | 3 | 공통 | |
180 | 사운드디자인특론 | 3.0 | 3 | 공통 | |
181 | 시나리오특론 | 3.0 | 3 | 공통 | |
182 | 영상미학특론 | 3.0 | 3 | 공통 | |
183 | 영화연출특론 | 3.0 | 3 | 공통 | |
184 | 음향제작기법세미나 | 3.0 | 3 | 공통 | |
185 | 음향제작스튜디오특론 | 3.0 | 3 | 공통 | |
186 | 캐릭터애니메이션특론 | 3.0 | 3 | 공통 | |
187 | 컴퓨터게임개론 | 3.0 | 3 | 공통 | |
188 | 컴퓨터그래픽스스튜디오1 | 3.0 | 3 | 공통 | |
189 | 컴퓨터그래픽스스튜디오2 | 3.0 | 3 | 공통 | |
190 | 특수효과특론 | 3.0 | 3 | 공통 | |
191 | 변환이론 | 3.0 | 3 | 공통 | |
192 | IT융합론특론 | 3.0 | 3 | 공통 | |
193 | 고급IT융합론 | 3.0 | 3 | 공통 | |
194 | 고급모델링&시뮬레이션 | 3.0 | 3 | 공통 | |
195 | 고급웨어러블컴퓨팅 | 3.0 | 3 | 공통 | |
196 | 다차원신호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197 | 다차원영상처리개론 | 3.0 | 3 | 공통 | |
198 | 모델링&시뮬레이션 특론 | 3.0 | 3 | 공통 | |
199 | 영상처리특화프로그래밍 | 3.0 | 3 | 공통 | |
200 | 웨어러블컴퓨팅 특론 | 3.0 | 3 | 공통 | |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 점 | 시간수 | 학위과정 | 비 고 |
201 | 모바일컴퓨팅특론 | 3.0 | 3 | 공통 | |
202 | 디지털콘텐츠보호개론 | 3.0 | 3 | 공통 | |
203 | 디지털콘텐츠유통개론 | 3.0 | 3 | 공통 |
1.석사논문연구1 (Master’s thesis research 1)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2.석사논문연구2 (Master’s thesis research 2)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3.박사논문연구1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1)
4.박사논문연구2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2)
5.박사논문연구3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3)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6.박사논문연구4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4)
대학원 학생의 논문연구를 학점화 하여 논문연구를 책임있게 지도할 수 있도록 내실화를 기하고자 한다.
7.고급실시간렌더링 (Advanced Realtime Rendering)
최신의 Graphics Processing Unit(GPU) 구조들을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polygon-based rendering, volume-based rendering, image-based rendering을 가속하는 다양한 기법을 살펴본다.
8.고급컴퓨터구조 (Advanced Computer Architecture)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에 대한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특히 instruction-level parallel processing을 위한 다양한 구조적 기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9.시스템시뮬레이션개론 (Systems Simulation)
실제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이론을 학습하고, 시뮬레이션 언어를 사용하여 실제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 도구의 사용법과 그 도구에 적용되는 이론을 학습한다.
10.디지털통신개론 (Digital Communications)
유무선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전송 방식과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단 신호처리 방식을 습득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한다.
11.머신비젼개론 (Machine Vision)
머신 비젼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영상 및 영상 이해, 이진영상분석, 패턴인식 개념, 영상 필터링, 칼라, 텍스쳐, 2차원에서 3차원 영상 인지, 3차원 센싱등의 주제를 다룬다.
12.데이터마이닝특론 (Topics on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은 이전에는 발전되지 않았던 데이터들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분야이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현재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13.고급인간과컴퓨터 (Advanced Human and Computer)
컴퓨터가 인간의 감정을 능동적으로 파악해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도록 한다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좀더 편리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는 것이 상황인식 컴퓨팅이다. 이 과목에서는 상황인식 컴퓨팅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서 파악한다.
14.객체지향DB특론 (Topics on Object Oriented DB)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는 최근 중요한 활용 분야로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이론적 기초가 됨으로 이 과목에서는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한다. 이를 기초로 최근의 연구 경향도 소개한다.
15.성능분석특론 (Topics on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모델링 기법, 즉 Automata, Petri-net, Queueing System등에 대하여 배우고 이에 대한 수학적 이론 및 전개, 증명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모델링한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습한다.
16.실시간시스템특론 (Topics on Real-time System)
실시간 환경에서 대두되는 Multi-task들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Real-Time OS 환경을 연구하고, 특히 Multi-task간의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Shared memory, Synchronization, Scheduling, Memory Locking등에 대해서 연구한다.
17.멀티미디어통신특론 (Topics on Multimedia Communication)
기본적인 영상과 음향처리 기법, 여러 가지 미디어의 다양한 압축방법을 배우고,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식과 전송오류가 복원된 멀티미디어 데이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본다.
18.디지털방송개론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전송 방식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송수신 알고리듬을 익힌다.
19.디지털방송특론 (Topics on Digital Broadcasting)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학습하고, 각 방식에서 사용되는 전송 방식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한 이론과 성능을 분석한다.
20.컴퓨터비젼특론 (Topics on Computer Vision)
컴퓨터 비젼은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의미 있게 묘사하는 기술이다. 객체에 대한 묘사는 객체를 이용하는 인식, 처리, 추론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Boundary detection, Region Growing, Motion 등을 이용한 Image segmentation 기술과 2-D 3-D 영상 구조등에 대해 배운다.
21.전문가시스템특론 (Topics on Expert Systems)
주요한 전문가 시스템의 구축 사례를 심층 연구하며 전문가 시스템 개발에 효과적인 지식표현 체계 및 알고리즘 테크닉에 관해 공부한다.
22.웨이브릿응용특론 (Topics on Wavelet Applications)
제 3세대 멀티미디어의 변환기술인 웨이브릿 변환에 대한 각종 이론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웨이브릿 필터의 도출과정을 배운다. 웨이브릿을 이용한 각종 응용업무, 즉 데이터및 영상 압축, 자료조회, 영상인식 기법 등에 대해 연구한다.
23.로보틱스특론 (Topics on Robotics)
로보틱스 분야의 기구학, 동력학, 제어, 프로그래밍 언어, 실시간 OS 사용기법등의 다양한 내용을 습득하고, 다양한 산업용 로봇 및 서비스 로봇에 관하여 연구한다.
24.소프트웨어공학특론 (Topics on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를 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론을 배운다. 시스템 공학, 분석, 설계, 코딩, 유지보수의 각 단계에서 이용되는 기법과 문서에 대하여 학습하고, 소프트웨어 품질검사, 형상관리, 역공학, 재공학등에 대한 최근 동향과 이론배경에 대하여 연구한다.
25.컴퓨터구조특론 (Lecture on Computer Architecture)
컴퓨터 구조의 설계 기법과 컴퓨터의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병렬처리 컴퓨터, 파이프라인 컴퓨터 등의 고성능 컴퓨터 구조의 설계 및 성능 분야에 대한 이슈들을 살펴본다.
26.HCI특론 (Special Lectures on Human Computer Interface (HCI))
HCI 관련분야의 이해, 설계, 분석, 비교와 개선에 관하여 훈련한다.
27.멀티미디어응용특론 (Topics on Multimedia Applications)
멀티미디어의 개념, 응용분야, 관련 하드웨어에 대하여 이해하고 구조화된 멀티미디어, 하이퍼 미디어, 멀티미디어 통신 개념, 분산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서버 기술에 관하여 배운다. 압축/복원기법, 미디어간의 동기화 기법,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기법,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기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28.운영체제특론 (Topics on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부분중의 하나이며, 이 과목에서는 운영체제의 기본개념과 프로세스 관리, 저장장치 관리, 파일의 보호 등의 운영체제의 전반에 대하여 UNIX, MS-DOS, OS/2 등의 여러 가지 운영체제의 예를 바탕으로 한 현대 운영체제의 기반이 되는 내용을 다룬다.
29.가상현실특론 (Topics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은 인간 감각의 착오를 유발시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현상을 현실감 있게 표현해주는 기술이다. 가상현실의 기술 개요, 사이버스페이스. 가상현실의 입력과 출력, 시스템용 애플리케이션으로써의 가상현실, 관련 표준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0.고급정보검색 (Advanced Information Retrieval)
Internet 정보검색을 위한 도구에 대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논문분석을 통하여 특정연구 분야의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31.시과학개론 (Vision Science)
시과학 관련기술을 적용한 정보통신 관련 시스템을 이해, 설계, 분석, 비교하고 개선하는 데 관하여 훈련한다.
32.생체인식개론 (Biometrics)
얼굴, 지문, 홍채, 음성, 장문 등을 이용한 생체인식 시스템을 이해, 설계, 분석,
비교 하고 개선하는 데 관하여 훈련한다.
33.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개론 (Introduction to Ubiquitous Computing Security)
유비퀴터스 컴퓨팅 환경의 기존 컴퓨팅 환경과의 차별화된 특성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서의 주요 보안이슈 및 요구조건, 그리고 보안 요소기술에서 각종 응용 보안에 이르기까지 유비퀴터스 컴퓨팅 보안의 일반적인 보안이슈들을 다룬다.
34.지식기반시스템특론 (Topics on Knowledge-Based Systems)
주요한 지식기반 시스템의 구축 사례를 심층 연구하고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설계원리 및 개발 방법을 연구한다.
35.고급확률프로세스 (Advanced Random Process)
확률론 및 확률프로세스에 대한 기본개념을 익히고, 특히 다양한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이해를 연마한다.
36.고급정보보호 (Advanced Information Security)
정보보호의 핵심 분야인 암호 이론과 암호 프로토콜, 그리고 시스템 보아에 관한 근본적이고 세부적인 사항들을 학습한다. 특히 공개키 암포에 관한 수학적인 기반과 이에 대한 응용 기술인 암호 프로토콜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하도록 한다.
37.실시간렌더링특론 (Lecture on Realtime Rendering)
렌더링 기법 중 가장 좋은 image quality를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인 global illumination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실시간 처리할 수 있는 알고리즘, 하드웨어 가속기, API에 대하여 살펴본다.
38.패턴인식개론 (Pattern Recognition)
전통적인 함수적 분류 기법이나 문법적 분류 기법들을 이용하여 입력된 다차원 자료에서 주어진 특징들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다양한 기법을 다룬다.
39.고급알고리즘 (Advanced Algorithm)
알고리즘은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분명한 절차를 말한다. 전산기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배운다.
40.신경망특론 (Special Lectures on Neural Network)
신경망 컴퓨터와 뇌의 정보처리, 뉴럴 네트워크 모델, 뉴로 시뮬레이터, VLSI 뉴로칩, 관 뉴럴 네트워크, 연상 메모리, 뉴럴 네트워크의 인식에 대한 응용, 뉴럴 네트워크의 제어에 대한 응용, 뉴럴 네트워크의 산업 시스템에 대한 응용에 대한 이론 학습과 연구를 한다.
41.고급패턴인식 (Advanced Pattern Recognition)
패턴 인식에 대한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적용 사례를 배운다. 통계적 패턴 인식 기법을 사용하고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패턴 인식 기법도 다룬다.
42.멀티미디어특론 (Topics on Multimedia)
MPEG 등 최신의 멀티미디어 국제 표준 기술들을 소개하고, 관련 원천 특허 기술을 분석하고, 특허를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43.고급디지털신호처리 (Advanced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각종 변환을 이용한 신호처리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44.고급수치해석 (Advanced Numerical Analysis)
Computer를 활용한 수치적 형태 수학-비선형 방정식 해법, 근사함수론, 수치적 미분적분법, 상미분방정식 등에 관해 살펴보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구현해보며 그에 따른 오차 및 Error 분석을 통하여 수치적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연구한다.
45.애니메이션이론세미나 (Seminar of Animation Theory)
수강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연구 자료를 조사하고, 그룹토론을 통하여 애니메이션 분야에 대하여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46.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1 (Digital Contents Project 1)
디지털콘텐츠 연구 또는 제작관련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여 실질적인 제작업무를 수행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며 학회 등을 통하여 연구 또는 제작결과를 발표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실무적인 감각을 익히는 동시에 연구 또는 제작업무에 대한 안목을 높인다.
47.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2 (Digital Contents Project 2)
디지털콘텐츠 프로젝트 1 참조
48.디지털콘텐츠세미나1 (Digital Contents Seminar 1)
수강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그룹토론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대하여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49.그래픽스모델링특론 (Topics on Graphics Modeling)
3차원 컨텐츠의 기하학적 형상을 모델링 하는데 이용되는 B-spline, Subdivision곡면, Solid Modeling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50.디지털영상편집스튜디오특론 (Topics on Digital Image Studio)
각종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편집, 특수효과, 영상제작능력을 배양한다.
51.놀이문화특론 (Topics on Play)
놀이에 관한 인간행동의 분석, 놀이문화의 이론적 고찰 및 엔터테인먼트산업 응용방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52.게임이론세미나1 (Seminar of Game Theory 1)
수강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그룹토론을 통하여 게임제작 분야에 대하여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53.디지털콘텐츠마케팅특론 (Topics on Digital Contents Marketing)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최근동향을 조사하여 디지털콘텐츠 마케팅의 성공, 실패사례를 분석한 다음 성공적인 마케팅 모델을 제시한다.
54.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3 (Digital Contents Project 3)
디지털콘텐츠 프로젝트 1 참조
55.게임심리학특론 (Topics on Game Psychology)
게임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관계를 연구 및 분석한다.
56.컴퓨터그래픽스특론 (Topics on Computer Graphics)
본 교과목은 정보의 시각적 표현수단인 그래픽스 환경 하에서 삼차원 객체를 효율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모델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감 등 그래픽스 관련 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57.데이터베이스특론 (Topics on Database)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해서 학습한다. 특히 실제로 동작하는 시스테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58.게임이론세미나2 (Seminar of Game Theory 2)
게임이론 세미나 1 참조
59.디지털콘텐츠세미나4 (Digital Contents Seminar 4)
디지털콘텐츠 세미나 1 참조
60.게임분석특론 (Topics on Game Analysis)
게임 장르의 역사적 변천의 개관, 국내외 우수 게임의 장르별 분석 및 비평하는 능력을 기른다. 컴퓨터 게임제작에 필요한 기술, 과학, 예술을 전반적으로 조명하고, 게임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프로그램 언어, 스크립트 언어, 컴퓨터 운영체제, 파일 시스템, 네트웍, 시뮬레이션 엔진 및 멀티 미디어 디자인 시스템을 다룬다.
61.애니메이션연출특론 (Topics on Animation Directing)
애니메이션 이론을 학습하여 다양한 주제로 애니메이션 기획을 진행한다.
62.고급HCI (Advanced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HCI(Human-Computer Interactions)이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관련현상에 대한 디자인/평가/구현과 관련된 학문분야이다. HCI는 심리학과 컴퓨터 과학, 디자인, 사회학, 언어학, 인간공학 등등을 공부하는 학제적 학문이다. 우리는 HCI와 관련된 기술요소에 대해서 학습한다.
63.게임마케팅론 (Game Marketing)
게임과 마케팅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탐색을 통해 게임마케팅에 필요한 제반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64.3D애니메이션개론 (3D Animation)
3D 애니메이션의 기획, 제작기법, 관련이론을 학습하고,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한 제작법을 익힌다.
65.디지털영상제작특론 (Topics on Digital Image Production)
아날로그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편집, 특수효과, 사운드, 합성 등의 과정을 거쳐 영상제작기법을 학습한다.
66.응용영상처리개론 (Applied Image Processing)
영상 처리 기술을 응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워터마킹 등의 다양한 응용에 대한 기본 기법과 사용과정 등을 배우고 이해한다.
67.디지털영상처리개론 (Digital Image Processing)
영상정보처리를 위한 기본 개념과 이론들을 살펴본다. 영상에 대한 압축, Enhancement, Resotraction, Reconstruction 방법과 기본 이론 등을 연구하고, 이의 실제 응용을 살펴본다.
68.엔터테인먼트비즈니스특론 (Topics on Entertainment Business)
국내외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 동향 및 Business Model. 마케팅 경영전략 등 국내시장 및 세계시장의 성공사례 및 실패사례 분석
69.고급증강현실 (Advanced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분야의 다양한 기법을 소개하고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하여 논문분석 및 구체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를 행한다.
70.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특론 (Topics on Ubiquitous Computing Security)
유비퀴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초경량 암호 알고리즘의 설계나 구현, RFID 시스템에서의 인증 프로토콜,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키관리 문제, 센서 네트워크의 라우팅 보안 등 유비퀴터스 컴퓨팅 환경의 특정 토픽별로 보안문제를 보다 심도 있게 학습한다.
71.실시간렌더링개론 (Realtime Rendering)
3차원 그래픽을 지원하는 다양한 렌더링 기법인 polygon-based rendering, volume-based rendering, image-based rendering 등을 살펴보고,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가속 기법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72.인공지능특론 (Topics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인터넷을 통한 정보 보안 기술과 지적 자신 및 통신 관련 법규의 근본 이해, 국내외 관련 법규를 다룬다.
73.디지털영상처리특론 (Topics on Digital Image Processing)
디지털 영상 압축 및 처리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영상처리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74.인간과컴퓨터개론 (Human and Computers)
이 과목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강의가 진행된다. 하나는 인간을 닮은 컴퓨터, 즉 사람의 두뇌, 눈, 생체, 생명 그리고 마음과 컴퓨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며 두 번째는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도처에(ubiqutious)에 확산됨에 따른 사람의 생각, 행위, 조직, 생활이 어떻게 변화하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75.컴퓨터게임특론 (Topics on Computer Games)
컴퓨터 게임제작에 필요한 기술, 과학, 예술을 전반적으로 조명하고, 게임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프로그램 언어, 컴퓨터 운영체제, 파일시스템, 네트웍, 시뮬레이션 엔진 및 멀티 미디어 디자인 시스템을 다룬다.
76.고급컴퓨터비젼 (Advanced Computer Vision)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칼라와 필터 이론 등 기본적인 영상 처리 기법들을 이해한다. 또한 edge detection, texture, segmentation 등의 처리 기법을 이해한 후 2차원, 3차원의 물체 인식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학습도 병행한다.
77.고급컴퓨터그래픽스 (Advanced Computer Graphics)
본 교과목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관련된 고급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컴퓨터 그래픽스, 모바일 그래픽스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78.고급지능형시스템 (Advanced Intelligent System)
지능형 시스템에 대한 개관과 응용분야 등에 대해 학습한다. 지능형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지능형 콘텐츠와 컴퓨팅의 두 분야로 정의하며, 각각 분야에 대한 이해와 실제 구현방법 그리고 서로간의 연계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79.컴퓨터비전기반모델링특론 (Topics on Computer Vision-based Modeling)
컴퓨터 비전에 대한 심도 깊은 내용과 비전기반의 모델링 방법에 대해 공부한다.
80.고급비사실적렌더링 (Advanced Non-photorealistic Rendering)
예술적인 측면이 강조된 렌더링 기술 소개와 그 효과를 다룬다.
81.디지털콘텐츠세미나3 (Digital Contents Seminar 3)
디지털콘텐츠 세미나 1 참조
82.디지털콘텐츠프로젝트4 (Digital Contents Project 4)
디지털콘텐츠 프로젝트 1 참조
83.컴퓨터애니메이션특론 (Topics on Computer Animation)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기획하고 설계하기 위한 사회과학적 이론을 방법론 차원에서 습득한다.
84.고급바이오인포매틱스 (Advanced Bioinformatics)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Sequence Analysis, Database와 Visualization, Protein Structure의 시각화, Sequence로부터 Protein 구조와 Function 예측, Data Mining 등에 대한 최근 동향을 연구한다.
85.고급소프트웨어공학 (Advanced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를 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론을 배운다. 시스템 공학, 분석, 설계, 코딩, 유지보수의 각 단계에서 이용되는 기법과 문서에 대하여 학습하고, 소프트웨어 품질검사, 형상관리, 역공학, 재공학등에 대한 최근 동향과 이론배경에 대하여 연구한다.
86.패턴인식특론 (Topics on Pattern Recognition)
패턴인식은 주로 숫자와 심볼 테이타를 분류하는 기법이다. 다양한 통계적인 혹은 구문적인 패턴 분류 기법에 대하여 배우고 머신 비젼(machine Vision)에서의 패턴인식의 활용에 대한 논문연구와 프로토타이핑을 통하여 관련지식을 습득한다.
87.의료영상처리특론 (Special Topics on Medical Image Processing)
의료영상처리란 X-선 사진은 물론, PET, MRI, 초음파로 부터 획득된
많은 양의 자료로 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처리기법을 지칭하며, 기존의
영상처리기법은 물론이고 압축, 전송에 관한 연구도 병행된다.
88.고급데이터베이스 (Advanced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에 관련된 모델링 및 설계, SQL, 인터넷과의 연동,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전문가 데이타베이스, 비디오 데이타베이스 등의 최신 분야에 대한 이론 배경을 배우고 연구한다.
89.생체인식특론 (Special lectures on Biometrics)
얼굴, 지문, 홍채, 음성, 장문 등을 이용한 생체인식 시스템을 이해, 설계, 분석,
비교 하고 개선하는 데 관하여 훈련한다.
90.고급인공지능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Problem-Solving 기법, State-Space 표현 기법, Heuristic Search 및 Problem- Reduction 기법과 추론(Inference), 논리 프로그래밍(Logic Programming) 등의 기본적인 인공지능 기법을 배운다. 또한 지식표현의 방법 및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들에 필요한 데이터 구성 및 운용 방법, 자연언어의 처리와 시각 및 음성정보 처리를 배운다. 최근에 지능 시스템의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신경망 이론, 퍼지 이론 등을 다룬다.
91.시과학특론 (Special Lectures on Vision Science)
시과학 관련기술을 적용한 정보통신 관련 시스템을 이해, 설계, 분석,
비교 하고 개선하는 데 관하여 훈련한다.
92.고급데이터마이닝 (Advanced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은 이전에는 발전되지 않았던 데이터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 분야이다. 대용량 데이터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각종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93.고급응용영상처리 (Advanced Applied Image Processing)
영상 처리 기술을 응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워터마킹 등의 다양한 응용에 대한 고급 기법과 사용과정 등을 배우고 이해한다.
94.증강현실특론 (Topics on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실시간으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95.고급디지털영상처리 (Advanced Digital Image Processing)
디지털 영상처리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영상처리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96.고급지식기반시스템 (Advanced Knowledge-Based Systems)
지식기반 시스템에 대한 다각적인 고급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식기반 시스템의 설계 및 분석 방업을 배운다. 규칙기반 시스템, 추론 시스템, 기계 학습을 이용한 지식 기반 시스템의 사례에 대하여 다룬다.
97.게임디자인특론 (Topics on Game Design)
게임소재-세계역사, 신화, 설화, 전략전술론 등을 조사하여 게임의 구성 및 설계, 기획 제작기법을 연구한다.
98.기계학습특론 (Topics in Machine Learning)
인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러한 학습능력을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이다. 기계학습 분야의 최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99.고급시스템분석 (Advanced System Analysis)
시스템 분석 분야의 최근 연구 경향을 논문분석을 통하여 수행하고, 특정연구 분야를 선택하여 집중적인 분석을 함으로서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100.데이터마이닝개론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이란 대량의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연구분야이다.
대용량 데이터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각종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101.무선네트워크개론 (Wireless Networks)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 무선 저속네트워크, 무선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무선 솔루션들의 계층별 기반 프로토콜 이해와 무선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응용 SW/HW 를 통한 구현 및 디자인 과정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102.3차원신호처리개론 (Introduction to 3-Dimensional Signal Processing)
3차원 신호처리 관련분야의 이해, 설계, 분석, 비교와 개선에 관하여 훈련한다.
103.3차원신호처리특론 (Special Lectures on 3-Dimensional Signal Processing)
3차원 신호처리 관련분야의 이해, 설계, 분석, 비교와 개선에 관하여 훈련한다.
104.3차원의료영상특론 (Topics in 3D Medical Imaging)
본 교과목은 3차원 의료영상과 관련된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의료용 VR 어플리케이션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05.고급e-business시스템 (Advanced e-business Systems)
앞으로 인터넷에서 가장 각광받을 서비스 중의 하나로 전자상거래를 꼽을 수 있다.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보안 기술로는, 전자 서명, 부인 봉쇄, 전자 화폐 익명성, 프라이버시, 전자 투표 및 경매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과 유무선 인터넷 보안 기술에 대해서 학습한다.
106.고급가상현실 (Advanced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분야의 다양한 기법을 소개하고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하여 논문분석 및 구체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를 행한다.
107.고급객체지향DB (Advanced Object Oriented DB)
객체지향 패러다임 및 객체지향 도구의 장점에 관하여 학습을 하며, 데이터베이스와 객체 지향의 개념을 연결하는 여러 가지 기법에 관하여 학습 한다.
108.고급디지털방송 (Advanced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전송 방식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송수신 알고리듬 및 통신 방식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분석한다.
109.고급머신비젼 (Advanced Machine Vision)
영상 이해 및 2차원에서 3차원 인지 등 머신 비젼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머신 비젼 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110.고급멀티미디어 (Advanced Multimedia)
Web에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조사, 연구를 통하여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111.고급멀티미디어DB (Advanced Multimedia DB)
멀티미디어 DB분야의 최근 연구 경향을 논문분석을 통하여 수행하고, 특정연구 분야를 선택하여 집중적인 분석을 함으로서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112.고급멀티미디어응용 (Advanced Multimedia Applications)
최신 멀티미디어 응용 기술을 학습하고 분석하며, 새로운 멀티미디어 응용을 고안하고, 소프트웨어를 설계,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113.고급모바일컴퓨팅시스템 (Advanced Mobile Computing System)
모바일 컴퓨팅이란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컴퓨팅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분야이다. 모바일 컴퓨팅을 구성하는 기술요소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114.고급선형대수 (Advanced Linear Algebra)
벡터스페이스 및 행렬에 대한 기초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기법을 습득한다.
115.고급성능분석 (Advanced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컴퓨터시스템, 컴퓨터네트워크 및 Web 등의 성능분석 및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Performance Evaluation 기법과 최근 연구 등을 학습하다. 큐잉 이론 및 다양한 응용에 대한 학습도 병행한다.
116.고급신경망 (Advanced Neural Network)
신경망은 거의 사람 뇌의 동작에 가깝게 만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구조 시스템을 말한다. 우리는 신경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알고리즘과 그 응용분야에 대해서 학습한다.
117.고급유비쿼터스컴퓨팅보안 (Advanced Ubiquitous Computing Security)
RFID 시스템이나 센서 네트워크과 같은 유비퀴터스 컴퓨팅 환경의 기반 인프라에서의 보안을 위한 다양한 요구조건, 이를 위한 암호 알고리즘 및 보안 프로토콜 등 유비퀴터스 컴퓨팅 보안의 보다 깊이 있는 이론 및 응용들을 다룬다.
118.고급의료영상처리 (Advanced Medical Image Processing)
본 교과목은 의료영상(CT, MRI, PET 등)과 관련된 고급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의료용 VR/AR 어플리케이션, 의료용 첨단 휴먼 인터페이스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19.고급의료영상특강 (Special Topics on Advanced Medical Imaging)
본 교과목은 의료영상 분야의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의료영상 어플리케이션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20.고급인터넷응용 (Advanced Internet Applications)
인터넷 프로토콜 및 서버의 배치 에 대한 다각적인 고급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한 적용 사례를 배운다. 프록시 서버의 배치 및 분석,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는 정보검색도 다룬다.
121.고급전문가시스템 (Advanced Expert System)
전문가 시스템은 특수한 지식의 범위 안에서 실제의 문제를 풀고 있는 인간 전문가의 행동을 모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우리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전문가시스템의 분석을 통해서 그 구성과 응용분야에 대해서 학습한다.
122.고급컴퓨터네트워크 (Advanced Computer Network)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라우딩, 복잡도 제어 등의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한다.
123.고급패턴분류 (Advanced Pattern Classification)
Bayesian 결정 이론, Maximum Likely hood, Linear Discriminant 함수, Stochastic 방법론 등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패턴 분류의 다양한 기술의 원리를 소프트웨어로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124.고급프로그래밍언어 (Advanced Programming Languag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ADT (Abstract Date Type), 프로그램의 Specification에 대한 Testing, Verification 및 Attribute Grammer 와 Data Structure 등을 배운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언어인 OOPL(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특징과 이전 언어 개념과의 차이에 관하여 배운다.
125.기계학습개론 (Machine Learning)
인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러한 학습능력을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이다.
126.네트워크분석개론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야의 최근 연구 경향을 논문분석을 통하여 수행하고, 특정 연구분야를 선택하여 집중적인 분석을 함으러써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127.데이터베이스개론 (Database)
데이터를 저장/관리/추출하는데 필요불가결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현대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반드시 있어야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학습하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128.디지털신호처리개론 (Digital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의 기초가 되는 샘플링 이론 및 이산 신호의 특징, 이산 시간상에서의 시스템 이론과 Z-transform, Discrete Fourier Transform에 대하여 학습한다.
129.디지털신호처리특론 (Topics on Digital Signal Processing)
푸리어 변환을 이용한 디지털 신호처리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푸리어 변환을 이용한 신호처리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130.머신비젼특론 (Topics on Machine Vision)
머신 비젼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케 함으로서, 머신 비젼 분야의 발전에 따르는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131.멀티미디어DB개론 (Multimedia DB)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다양성 및 대용량으로 대표되며, 전통적인 방식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는 처리하기 힘든 점들이 많다. 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DB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DB를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기술 요소에 대해서 학습하면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관리할 수 있는 실험용 시스템을 구성하여 학습한다.
132.멀티미디어시스템개론 (Multimedia System)
멀티미디어의 개념, 응용분야, 관련 하드웨어에 대하여 이해하고 구조화된 멀티미디어, 하이퍼 미디어, 멀티미디어 통신 개념, 분산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서버 기술에 관하여 배운다. 압축/복원기법, 미디어간의 동기화 기법,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기법,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 기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133.멀티미디어응용개론 (Multimedia Applications)
멀티미디어의 기본 핵심 기술에 대한 이해와 함께,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동영상 재생장치, DMB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의 원리를 학습한다.
134.멀티미디어통신개론 (Multimedia Communications)
ADSL, CABLE, Satellite, IMT-2000 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술에 대한 이론 및 응용을 학습한다.
135.모바일컴퓨팅시스템개론 (Mobile Computing System)
무선 RFID, 무선 PANs 솔루션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기위해 필요한 계층별 운영특성 및 핵심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이동성을 제공하는 환경하에서의 모바일 컴퓨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자인 특성 및 구현에 대해 집중한다.
136.모바일컴퓨팅시스템특론 (Topics in Mobile Computing System)
모바일 컴퓨팅이란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컴퓨팅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분야이다. 모바일 컴퓨팅을 구성하는 기술요소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137.바이오인포매틱스특론 (Topics on Bioinformatics)
바이오인포매틱스 분야의 최신 주제를 분석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138.비쥬얼컴퓨팅특론 (Visual Computing)
본 교과목은 비쥬얼 컴퓨팅 관련된 고급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의 비쥬얼 인터페이스, 비쥬얼리제이션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39.성능분석개론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개념, 분석 이론 및 과정에 관하여 학습한다. 기본적인 성능 측정 기법 및 도구, 기초적인 실험 설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140.수치해석특론 (Topics on Numerical Analysis)
Computer를 활용한 수치적 형태 수학-비선형 방정식 해법, 근사 함수론, 수치적 미분적분법, 상미분 방정식 등에 관해 살펴보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구현해 보며 그에 따른 오차 및 Error 분석을 통하여 수치적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연구한다.
141.신경망개론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s)
신경망 기술 관련분야의 이해, 설계, 분석, 비교와 개선에 관하여 훈련한다.
142.실시간로보틱스특론 (Topics on Real-Time Robotics)
실시간 OS의 기본을 소개하고, 이의 로보틱스 분야의 적용에 대해 실례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 모색등을 할 수 있는 연구능력을 개발한다.
143.영상통신개론 (Image Communication)
영상압축, 전송, 복원에 대한 이론 및 응용을 학습하고,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를 조사 발표한다.
144.유비쿼터스미디어특론 (Visual Computing)
본 교과목은 유비쿼터스 미디어 관련된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관련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45.유비쿼터스비쥬얼인터페이스개론 (Visual Computing)
본 교과목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비쥬얼 인터페이스 관련된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146.응용데이터베이스개론 (Applied Databases)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분야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고 각 응용 분야들이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향후 이들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산업체의 동향 및 연구 논문 등을 분석하고 응용한다.
147.응용데이터베이스특론 (Topics on Applied Databases)
현재의 거의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는 데이터베이스가 연동되어 존재한다. 거대한 웹 검색 엔진에서부터 휴대용 PDA에 이르기까지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분야는 다양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응용에 대해서 학습한다.
148.응용소프트웨어공학개론 (Applied Software Engineering)
소프트웨어를 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론을 배운다. 시스템 공학, 분석, 설계, 코딩, 유지보수의 각 단계에서 이용되는 기법과 문서에 대하여 학습하고, 소프트웨어 품질검사, 형상관리, 역공학, 재공학 등에 대한 최근 동향과 이론배경에 대하여 연구한다.
149.응용영상처리특론 (Topics on Applied Image Processing)
영상 처리 기술을 응용한 최신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워터마킹 등의 다양한 응용에 대해 분석하고, 새로운 응용을 고안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해한다.
150.응용운영체제개론 (Applied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부분 중의 하나이며, 이 과목에서는 운영체제의 기본 개념과 프로세스 관리, 저장장치 관리, 파일의 보호 등을 운영체제의 전반에 대하여 UNIX, Windows, NT 등의 여러 가지 운영체제의 예를 바탕으로 한 현대 운영체제으 기반이 되는 내용을 다룬다.
151.의료영상처리개론 (Medical Image Processing)
본 교과목은 의료영상처리 관련된 이론 및 실제적인 응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영상분할, 영상가시화, 3차원 영상 퓨전 등 최신 기술을 학습하도록 한다.
152.인간과컴퓨터특론 (Topics in Human and Computer)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s)이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관련현상에 대한 디자인/평가/구현과 관련된 학문분야이다. 우리는 HCI와 관련된 연구동향에 대해서 파악한다.
153.인터랙티브그래픽스특론 (Topics on Interactive Graphics)
인터랙티브 그래픽스를 지원하기 위한 Viewing systems, Rendering method, Reflection and Illumination method, Shadowing 기법 등에 대하여 배우고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컴퓨터 그래픽스 학문이 갖는 다학제간적인 특성을 다양한 응용 예를 통하여 보여줌으로써 여러 응용 분야에서 그래픽스 기술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154.전문가시스템개론 (Expert Systems)
특정 전문분야의 인공지능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의 활용 분야와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 시스템 구축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155.지식기반시스템개론 (Knowledge-Based Systems)
일련의 관련 지식을 표현하고 사용하는 지식기반 시스템의 활용 분야와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 시스템 구축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156.컴파일러특론 (Topics on Compiler)
컴파일러를 자동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요즈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컴파일러 자동화 도구에 대한 연구를 하고 컴파일러를 자동화 도구를 위하여 스캐너, 파서, 문법-지식적 변환기, 중간 코드 생성기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컴파일러의 전단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생성된 중간 코드를 인터프리터를 이용하여 실행시켜 필요한 결과를 얻는다.
157.컴퓨터비젼개론 (Computer Vision)
컴퓨터를 활용한 물체인식 기법에 대한 이론 및 얼굴인식, 제스쳐인식, 지문인식 등의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158.컴퓨터음악개론 (Computer Music)
컴퓨터 음악의 저작, 편집 기술 등에 대한 이론 및 응용을 학습한다.
159.패턴분류개론 (Pattern Classification)
Bayesian 결정 이론, Maximum Likely hood, Linear Discriminant 함수, Stochastic 방법론 등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패턴 분류의 다양한 기술의 원리를 학습한다.
160.패턴분류특론 (Topics on Pattern Classification)
최신의 패턴 분류 기술들을 논문 등을 통해 분석하고, 패턴 분류를 이용한 최신의 응용 기술들을 학습하며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실습한다.
161.퍼지이론특론 (Topics on Fuzzy Theory)
불확실한 개념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퍼지 이론을 퍼지집합, 퍼지논리, 퍼지추론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컴퓨터 과학에서 프로세스 제어에 이르는 응용들, 플랫폼의 제약을 받지 않는 퍼지 시스템 모델의 설계, 구축, 구현, 인증, 그리고 정비등의 완전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학습한다.
162.프로그래밍언어특론 (Topics on Programming Languag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ADT(Abstract Data Type), 프로그램의 Specification에 대한 Testing, Verification 및 Attribute Grammer와 Data Structure 등을 배운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언어인 OOPL(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특징과 이전 언어 개념과의 차이에 관하여 배운다.
163.프로젝트관리론개론 (Project Management)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단계별 절차에 대한 다양한 관리 기법에 대하여 알아 본다.
일정, 원가, 자원, 품질 관리가 중요 대상이며 최신 관리 도구들의 특성과 활용에 대한 실습이 포함된다.
164.3D사운드특론 (Topics on 3D Sound)
각종 음향의 3차원 입체화 원리를 학습하고, 기법을 익힌다.
165.계산기하학특론 (Topics on Mathematical Geometry)
대수, 벡터를 활용한 각종 변환, 매핑기법을 학습하여, 실제 적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166.고급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 (Advanced Multimedia Programming)
Java 및 XML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오디오, 컴퓨터 그래픽스 등에 대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한다.
167.고급모션캡쳐및편집 (Motion Capture and Edition)
모션 캡쳐의 종류 및 기본원리를 터득하고, 애니메이션 편집과정을 배우고 실습한다.
168.고급사운드디자인 (Advanced Sound Design)
디지털 영상 상품 이해를 위한 최신 기술의 디지털 음악의 다양한 적용방식과 제작방식에 대해 습득한다.
169.고급응용데이터베이스 (Advanced Applied Databases)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분야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고 각 응용 분야들이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고 향후 이들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산업체의 동향 및 연구 논문 등을 분석하고 응용한다.
170.고급컴퓨터게임 (Advanced Computer Games)
컴퓨터 게임제작에 필요한 기술, 과학, 예술을 전반적으로 조명하고, 게임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프로그램 언어, 컴퓨터 운영체제, 파일시스템, 네트웍, 시뮬레이션 엔진 및 멀티 미디어 디자인 시스템을 다룬다.
171.디지털사운드특론 (Topics on Digital Sound)
각종 효과음 및 BGM을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제작, 편집, 변환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172.디지털애니메이션분석특론 (Topics on Digital Animation Analysis)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론과 분석방법을 탐구하며, 작품분석을 통한 애니메이션의 발전방향
173.디지털영상특강 (Lecture on Digital Image)
디지털 영상의 초기 제작으로부터 제작 완성 단계까지의 과정에 있어 특강을 통하여 학습하도록 한다.
174.디지털영상합성특론 (Topics on Digital Video Composition)
컴퓨터그래픽스와 기존 아날로그 화상이나 영상과의 합성 기법과 그 효과를 다룬다.
175.디지털오디오음성처리 (Digital Audio Speech Processing)
디지털 콘텐츠 제작, 분석 및 활용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오디오와 음성 신호의 패턴을 분석, 인식, 이해 및 합성 등과 관련된 고급지식을 전반적으로 학습한다.
176.디지털콘텐츠세미나2 (Digital Contents Seminar 2)
디지털콘텐츠 세미나 1 참조
177.멀티미디어프로그래밍특론 (Topics Multimedia Programming)
Java 및 XML의 언어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오디오, 컴퓨터 그래픽스 등에 대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한다.
178.물리현상특론 (Topics on Physical Phenomena)
각종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79.비사실적렌더링특론 (Topics Non-photorealistic Rendering)
예술적인 측면이 강조된 렌더링 기술의 최근 기술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180.사운드디자인특론 (Topics on Sound Design)
디지털 영상 상품을 이해하기 위한 디지털 음악의 다양한 적용방식과 제작방식에 대해 습득한다.
181.시나리오특론 (Topics on Scenario)
시나리오에 대한 기본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에 적용되는 시나리오 작법을 연구하며, 기존 시나리오를 분석한다.
182.영상미학특론 (Topics on Picture Aesthetics)
영상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영상전반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183.영화연출특론 (Topics on Movie Directing)
연출의 이론을 학습하고 장르별 영화를 분석하여 디지털 영상 미학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184.음향제작기법세미나 (Seminar on Digital Music)
수강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그룹토론을 통하여 음향제작 분야에 대하여 심도 있는 학습을 하여 그룹단위로 실제제작을 한다.
185.음향제작스튜디오특론 (Topics on Digital Music Studio)
각종 음향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작, 편집, 영상매핑능력을 배양한다.
186.캐릭터애니메이션특론 (Topics on Character Animation)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주요프로그램을 습득하여, 직접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응용한다
187.컴퓨터게임개론 (Computer Games)
컴퓨터 게임제작에 필요한 기술, 과학, 예술을 전반적으로 조명하고, 게임프로그래밍에 필요한 프로그램 언어, 컴퓨터 운영체제, 파일시스템, 네트웍, 시뮬레이션 엔진 및 멀티 미디어 디자인 등 전반적 시스템을 다룬다.
188.컴퓨터그래픽스스튜디오1 (Computer Graphics Studio 1)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그래픽스 컨텐츠 제작 실무를 학습한다.
189.컴퓨터그래픽스스튜디오2 (Computer Graphics Studio 2)
컴퓨터 그래픽스 스튜디오 1 참조
190.특수효과특론 (Topics on Special Effect)
각종 특수효과의 개념,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분야에 응용하는 직관력을 기른다.
191.변환이론 (Transform Theory)
영상과 오디오 신호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는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 등을 배움으로써 영상과 오디오 신호처리 및 각종 디지털 콘텐츠 관련 응용분야의 대학원 수준의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192.IT융합론특론 (Topics in IT Convergence)
IT 융합기술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IT융합기술을 분석하여 발전 가능성을 연구한다.
193.고급IT융합론 (Advanced IT Convergence)
본 교과목에서는 IT 융합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요한 IT 융합에 대한 기술과 IT 기술 발전 가능성에 대해 배운다. 본 교과목 통하여 학생들은 IT 융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194.고급모델링&시뮬레이션 (Advanced Modelling & Simulation)
사물 및 현상에 대해 전문적으로 모델링 & 시뮬레이션 하는 이론 및 기술을 연구한다.
195.고급웨어러블컴퓨팅 (Advanced Wearable Computing)
구글 글래스,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컴퓨팅에 대한 소개 및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시스템개발을 연습함.
196.다차원신호처리개론 (Multi-dimensional Signal Processing)
본 교과목에서는 기존의 일차원 신호 처리를 다차원으로 확장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실제 응용에 대해 배운다. 본 교과목 통하여 학생들은 다차원 신호를 이용하는 상용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197.다차원영상처리개론 (Multi-dimensional Image Processing)
본 교과목에서는 깊이 영상을 이용하는 다중시점 영상 기술에 대해 강의한다. 본 교과목 통하여 학생들은 깊이 영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원하는 시점의 영상을 구성하는 기술을 배울 수 있다.
198.모델링&시뮬레이션 특론 (Topics in Modelling & Simulation)
고급 모델링 &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심도 있는 모델링 & 시뮬레이션 분야를 연구한다.
199.영상처리특화프로그래밍 (Programming for Image Processing)
본 교과목에서는 영상을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메모리 관리와 성능 최적화에 대해 배운다. 본 교과목 통하여 학생들은 상용 영상 처리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200.웨어러블컴퓨팅 특론 (Topics on Wearable Computing)
고급 웨어러블컴퓨팅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심도 있는 웨어러블 컴퓨팅 분야에 대한 연구
201.모바일컴퓨팅특론 (Topics on Mobile Computing)
이동통신과 컴퓨터의 결합으로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동통신을 이용한 LAN, MAN 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연구하고, 이동 컴퓨팅의 특유한 전산환경, 운영체제, 분산처리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202.디지털콘텐츠보호개론 (Digital Contents Protection)
디지털 콘텐츠 보호에 관련된 Watermarking, DRM 기술 등에 대한 이론 및 관련 법규를 학습한다.
203.디지털콘텐츠유통개론 (Digital Contents Delivery)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과정 및 이론을 학습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에 필요한 전자지불, 사용자인증, 검색 등의 이론을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