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해설
• 탄성론(Theory Elasticity) |
변형도-변위의 관계, 구성방정식, 평형방정식 등을 통해 탄성계의 지배방정식을 유도하고 엄밀해를 구하는 각종 기법을 배운다. |
• 프로젝트관리론(Project Management) |
프로젝트 통합관리, 의사결정, 프로젝트 분류체계, 프로젝트 성공 및 실패요인, 국내외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생산성( Productivity Construction) |
건설 생산성 개념, 건설생산성 측정 및 관리기법, 생산성 영향요인, 건설생산관리, 국내외 사례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축조명 계획 특론(Advanced Lighting Design &Analysis) |
실내조명디자인의 기본을 공부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조명디자인의 실습을 수행한다. |
• 건설관리세미나1(Seminar in Construction Management) |
건설관리와 관련된 주요 주제 및 사례를 선정하고 조사, 분석, 연구 및 발표하여 지식을 공유하고 연구 방법론에 대한 세미나를 목적으로 함. |
• 연속체역학(Continuum Mechanics) |
벡터와 텐서의 기본을 이해한다, 질량, 에너지, 모멘트의 법칙을 연속체의 역학에 응용하여 거동을 규정하는 방정식을 유도한다, 또한 이 방정식의 물리적 의미를 이해하고, 응력, 변형도, 변위의 상호관계에 대해 공부한다. 구조역학에의 적용성과 탄성론의 기본을 이해한다. |
• 탄성안정론(Theory of Elastic Stabiliy) |
에너지 원리에 근거하여 좌굴방정식을 유도하고 기둥, 박벽부재, 골조, 평판, 셀등의 죄굴거동을 공부한다, 또한 죄굴 후 거동의 특징에 대해 공부한다. |
•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Method1) |
변분법의 원리로부터 유한 요소방정식을 유도한 후 보 및 골조해석, 2차원 평면부재해석 등을 다룬다. 또한 이에 근거하여 유한요소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개발한다. |
• 판 및 셀 이론(Theory of Plate and Shell) |
평판 및 셀의 지배방정식을 유도하고 판의 횜, 좌굴, 진동 등의 문제를 다룬다. 문제해결방법으로 Ritz, Galekin method를 이용하는 법을 배운다. 또한 비선형 문제의 개론을 다룬다. |
• 구조체의 수치해석(Variational Methods in Engineering) |
변분법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해결에 각종 근사 해석법을 응용한다. 보, 골조, 평판 등의 각종유형의 문제를 해결한다. |
• 구조동역학(Structural Dynamics) |
단자유도 시스템의 운동방식을 유도하고, 단자유도 및 연속체에 대해서 각종 진동문제를 공부한다. |
• 복합재료역학(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
섬유보강복합재료의 역학적, 재료적 특성에 대해 공부한다. 고전판 이론에 근거하여 구성방정식을 유도하며 박벽형태의 복합재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
• 비선형 구조역학(Nonlinear Structural Mechanics) |
제요비선형과 기하학적 비선형을 다루며, 보 및 판에 대해 공부한다. |
• 건설관리론(Construction Management) |
CM의 특성, 건설사업관리제도, CM계약구조 및 시행절차, CM선정 정차 및 제안서, CM대가 및 계약적 책임,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사업비 관리론(Cost Management) |
사업비 계획, 원가관리, 코스트 모델링, 실적공사비 적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공정관리론(Time Management) |
공정계획, 공정관리, 공정-공사비 통합관리, 공정관리 프로그램 실습,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품질관리론(Quality Management) |
QC, QA, TQM, 품질관리 기법, 품질관리 기법, 품질관리 주체 및 역할,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계약론(Construction Contract) |
입찰 및 계약유형 및 특징, 입찰 및 계약관리, 클레임 특성, 클레임 대응, 대안적 분쟁해결,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 경제학(Construction Economics) |
국내외 건설사업 동향 및 환경, 현대 건설회사의 특징 및 전략, 파트너링, 건설 사업의 수요 및 공급, 건축경제학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정보화 및 자동화(information Technology Automation in Construction) |
건설정보화, 건설정보 기술, 건설정보 관리계획, 건설정보시스템 구조 및 사업 관리시스템, 국내외 사업관리시스템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마케팅(Construction Marketing) |
마케팅 일반, 건설마케팅 특징, 건설 마케팅 성공요인, 건설 마케팅 기법, 국내외 사례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건설마케팅(Construction Marketing) |
철골조 건물의 거종을 파악하고 구조시스템 별 특징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또한 각종 좌굴문제도 공부한다. |
•건설관리특론(Advanced Construction Management) |
CM계약방식을 보다 심층적이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학습한다. |
• 건설관리 세미나2(Seminar in Construction Management2) |
CM분야와 관련된 최근 동향, 기법, 지식 등에 관해 연구한다. |
• 건축조명공학(Architectural llluminating Engineering) |
조명의 공학적 기초지식과 다양한 건축조명의 응용에 관해 공부한다. |
• 건축설비시스템계획특론(Advanced Building Environmental System Design & Analysis) |
인텔리전트빌딩과 일반빌딩에 사용되는 건축설비 전반을 계획하고 평가한다. |
• 자연채광계획론(daylighting Design& Analysis) |
건물에 계획되는 자연채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평가를 공부한다. |
• 조명수치해석특론(Advanced Luminous Flux Transfer) |
조명재산과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기초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프로그래밍을 수행한다. |
• 건축음향, 소음공학(Architectural Acoustics& Noise) |
실내 음향의 공학적 기초지식 및 계획방법, 그리고 건물 및 건설소음에 대해 공부한다. |
• 건물에너지 분석론(Building Energy Analysis) |
건물에너지의 구성요소를 공부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각 요소의 분석을 수행하고 평가한다. |
• 태양열시스템계획론(Solar Engineering& Analysis) |
태양열시스템의 기본과 다양한 방법의 응용 및 평가에 대해 공부한다. |
• 공조시스템계획론(Advanced HVAC Design & Analysis) |
다양한 건물 공조시스템의 계획방법과 평가방법을 공부한다. |
• 전기설비시스템계획특론(Advanced HVAC Design & Analysis) |
다양한 건물 공조 시스템의 계획방법과 평가방법을 공부한다. |
• 공학통계론(Statistics for Engineering) |
공학연구에 응용되는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공부한다. |
• 고급공업수학 (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
Fourier 급수, Laolace 변환, 편미분방정식, BVP등을 다룬다. |
• 조명광학 특론(Advanced Luminaire Optics) |
조명기구 디자인에 사용되는 기초광학지식과 실제의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
• 조명디자인 스튜디오1(Lighting Design Studio1) |
실내 조명디자인의 이론과 실습을 수행한다. |
• 조명디자인 스튜디오2(Lighting Design Studio2) |
외부 경관조명의 이론과 실습을 수행한다. |
• 조명광원공학(Lighting Source Engineering) |
조명용 광원의 원리와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
• 조명공학세미나(llluminating Engineering Seminar) |
조명공학 전반에 걸친 신기술에 대한 세미나를 실시한다. |
• 콘크리트 공학특론(Advanced Concrete Engineering) |
콘크리트의 비선형거동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
• 유한요소해석2(Finite Element Method2) |
비선형해석, 시간이력해석, 특수요소 등을 배운다. |
• 가치관리 및 생애주기배용분석(Value Management and Lite Cycle Costing) |
가치관리, 가치공학, 시공성,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리스크관리론(Risk Management) |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프로젝트 리스크 분석기법, 리스크 비용 분석, 의사결정과 리스크 관리, 국내외 사례 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프로젝트관리전문가론(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
PMBOK를 중심으로 프로젝트관리 전문가가 습득해야 할 지식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 |
• 콘크리트의 소성이론(Plasticity of Concrete) |
콘크리트의 탄성: 선형탄성의 취성파괴 모형, 비선형보형, 콘크리트의 파괴기준, 콘크리트의 소성: 소성론일반, 소성파괴모형, 경화-파괴 모형, 적분알고리즘, 점소성 알고리즘에 대하여 강의한다. |
• 구조 최적화(Optimization of Structures) |
최적화의 기본원리, 설계개념, 기둥과 보의 최소경비 설계, 구조시스템의 최적설계, 최적설계 연구동향, 수치적 및 해석적 최적설계,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최적 설계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소성해석 및 설계(Plastic Analysis and Design) |
연속보와 공조구조의 소상해석, 상하한 정리, 파괴메케니즘의 결정 및 극한하중계산, 항복면소성이론, 보와 골조구조물의 소성설계에 대하여 강의 한다. |
• 콘크리트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 of Concrete) |
준취성 재료의 균열의 생성 및 균열의 이론개념과 모형화, 비선형파괴역학, 파괴진행영역, 압축파괴, 콘크리트 파괴의 수치해석, 손상역학 및 미시 역학적 콘크리트 파괴 모형, 특수콘리트 파괴거동에 대하여 강의한다. |
• 고등해석 및 설계(Advanced Analysis and Design) |
강구조의 비선형 해석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성능기반설계(Performance Based Design) |
내진설계를 중심으로 주어진 지진위험도에 따른 성능기반설계에 대해 공부한다. 이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확률안정론도 다루게 된다. |
• 진동제어특론(Structral Vibration Control) |
지진, 바람 등과 같은 동적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물의 과도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어 기법에 대해 강의 한다. 또한, 시스템 규명, 스마트 구조기술 등 구조공학 분야의 최신기술 동향을 파악한다. |
• 내진공학특론(Earthquake Engineering) |
지진하중의 특성 및 모형화 기법, 지진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거종특성, 내진설계기법,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성 분석기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 조명디자인론(Lighting Design Theory) |
조명 디자인에 필요한 기본이론을 공부한다. |
• 조명디자인 스튜디오3(Lighting Design Theory) |
신광원을 이용한 조명디자인을 실습한다. |
• 콘크리트재료공학(Concrete Meterials) |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들에 대한 고찰과 굳지 않는 콘크리트 및 경화 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특성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를 통해 연구한다. |
• 부식공학(Corrosion Engineering) |
여러 가지 금속재료의 부식에 대한 화학적으로 분석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를 통해 연구한다. |
• 콘크리트 구조체의 보수 보강(Concrete Repair) |
오래 되었거나 부실하게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를 통해 연구한다. |
• 건축조명 세미나(Architectural Lighting Seminar) |
건축 및 환경 분야의 선진 기술 및 국제적인 동향 등에 대한 토론 및 연구를 한다. |
• 조명디자인 스튜디오4(3(Lighting Design Studio4) |
건축환경과 관련하여 조명디자인 실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건축조명공학적인 지식과 조명계획 과정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