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시경제의이해(Introduction to Macro-Economics) / 3시간, 3학점
국민경제 전체에서 각 경제단위 또는 총체에 대한 현상과 관계 등의 분석, 그리고 기초적 이론 습득을 통해 거시경제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넓힌다.
□ 경제신문독해(Business Newspaper Reading) / 3시간, 3학점
신문이나 잡지 등에 수록된 중국 경제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고급 수준의 전공어를 학습하고, 경제와 관련된 어휘와 지식을 습득하며, 현재 한중 양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 국제통상개론(Principles of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 / 3시간, 3학점
국제통상의 개념과 범위, 국민경제와의 관련성, 해외투자 및 무역과 관련된 기초 이론 등을 학습한다.
□ 동아시아근현대사(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East Asia) / 3시간, 3학점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동아시아 지역에 초점을 맞춰 최근 100년간 근현대사의 변천을 이해한다. 특히 중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국가정체성과 미래에 관한 통찰적, 비판적 분석능력을 기르고 한국근현대사와의 비교의 시각에서 접근하고 일본의 근현대사와 연관지음으로써 좀 더 입체적으로 동아시아 통사 본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 동아시아문화비교론(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 / 3시간, 3학점
역사적으로 오랜 이해관계를 유지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관계로 엮인 동아시아 문화 전반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중 양국의 문화를 포괄적 다층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동아시아산업과금융(Industry and Finance of East Asia) / 3시간, 3학점
동아시아 금융시장의 제도적 특징을 이해한다. 특히 중국의 은행제도, 제2금융권, 주식시장, 환율제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동아시아혁신론(East Asian Innovation) / 3시간, 3학점
이 과목은 학생들에게 동아시아 지역의 혁신 상황에 대해 이해를 제공하며, 혁신 관련 학술 이론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 무역실무와e트레이드(Trade Commerce Practice and E-trade) / 3시간, 3학점
무역실무 전반에 대한 이해와 전자상거래에 대하여 배우고 이를 종합적으로 응용, 예측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무역영어(Trade English) / 3시간, 3학점
이 과목은 무역과 금융 영역에서 쓰이는 영어 표현과 어휘를 배우고 회의 참석, 협상, 통화 등 무역실무 상황에서의 업무 적응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시사중국어(Contemporary Chinese) / 3시간, 3학점
중국의 신문, 잡지, TV 등 언론 매체의 시사성 문장을 선별 학습함으로써, 중국의 신문 방송 등에서 사용되는 시사성 어휘를 습득하고, 시사적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이를 통해 오늘의 중국을 다양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실용중국어작문(Practical Chinese Composition) / 3시간, 3학점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 있는 실용문 작성을 위한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어휘나 표현을 익히며, 서신, 공문서 등의 형식을 이해하여 중국어로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아시아태평양시장마케팅론(Asia Pacific Marketing) / 3시간, 3학점
기초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환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들의 시장과 각국의 무역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각 나라의 시장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한다.
□ 영상중국어(Video Chinese) / 3시간, 3학점
다양한 영상자료를 교재로 활용하여 중국어 듣기, 말하기 능력을 배양하고, 영상 자료 속에 나타난 현대 중국의 사회와 문화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 인물과중국(Figures and China) / 3시간, 3학점
중국의 고대, 근대, 현대사 가운데 시대적 족적을 남긴 역사적 인물을 주심으로, 중국의 역사와 사회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 전공언어능력시험 (Major Language Certification Test) / Pass·Non-Pass)
한중통상 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본 소양으로서 전공어 회화 능력과 작문 능력을 검증하고, 일정 수준 이상을 졸업 자격요건으로 한다.
□ 졸업연구및진로1, 2(Independent Study and Career Skills/Senior Project1, 2) / 1시간, 1학점
본 교과는 졸업 전까지 해당학과에서 학습한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관심 있는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논문을 작성하는 과목으로서, 졸업 후 사회 진출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이수하도록 하여 사회적응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 중국경제론(Chinese Economics) / 3시간, 3학점
현대 중국 경제체제 형성의 역사적 변천과 제도적 특징을 이해한다. 특히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 논리에 대한 이해와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표방하는 중국경제의 기본성격과 구조, 특징을 이해한다.
□ 중국경제발전론(China’s Economic Development) / 3시간, 3학점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중국의 경제 성장 모델과 발전 전략을 학습하고 비판적인 분석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경제성장이론을 통해 중국이 경험한 공통적인 성장경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는 한편, 중국과 동아시아 각 국가의 사례 분석을 통해 각 국가별로 상이한 발전 전략(경제 구조적 변화)에 대해서도 이해를 돕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경제 성장의 미래 전망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도록 한다.
□ 중국과세계(China and the world) / 3시간, 3학점
중국은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다방면으로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국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발생하고 있다. 중국의 국제적 위치와 역할, 영향력 등을 세계적 판도 내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방향성을 모색하도록 한다.
□ 중국대외경제관계론(Chinese Foreign Economic Policy) / 3시간, 3학점
중국의 대외경제 정책 관련 이론과 법규를 습득하고, 한중 양국을 중심으로 한 통상관계의 흐름과 특징 등을 이해하도록 한다. 중국의 외자 유인 정책과 중국의 해외투자 전략 등을 학습한다.
□ 중국무역실무(Trade and Commerce Practice) / 3시간, 3학점
국제무역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무역이론에 대해 개괄적으로 학습하고, 실제 무역업무에 적용되는 무역법규, 결제, 운송, 보험, 관세 등에 대한 학습한다.
□ 중국문학과문화(Chinese Literature and Culture) / 3시간, 3학점
중국의 선진문학부터 현대문학까지를 시대별 문학 장르와 문학의 특성, 대표작가와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중국문학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게 한다. 이를 통해 중국문학 뿐만 아니라 중국의 문화, 사고방식, 세계관 등을 이해하게 된다. 발표와 토론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자료 조사능력과 분석 능력을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 중국사상과역사(Chinese Thought and History) / 3시간, 3학점
현대중국을 이해하는 기초지식으로서 중국의 사상과 역사를 이해한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각 시기별로 역사와 사상을 개괄하고, 주제를 선정하여 분석 토론함으로써, 현대중국을 통시대적,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 시각을 얻는데 중점을 둔다.
□ 중국시장마케팅론(Chinese Marketing) / 3시간, 3학점
방대한 영토와 인구, 그리고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갖는 중국시장의 여러 가지 특수성을 고려한 중국 내수시장 마케팅 전략을 이해한다. 중국시장구조의 특수성을 비롯하여, 국제경쟁력 분석, 중국시장 세분화전략, 시장분석 기법, 시장선택방법 및 진출방식 등을 다룬다.
□ 중국정치사회론(Chinese Politics & Society) / 3시간, 3학점
시장경제체제와 중국공산당 일당지배체제를 유지하는 중국의 특유한 정치체제의 제도적 특징을 이해하고 향후 중국 정치사회의 변동을 전망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중국공산당의 조직과 이념, 중앙 - 지방관계, 정치민주화 전망, 외교정책, 소수민족 문제, 사회적 갈등 등을 주제별로 학습한다.
□ 중국지역문화(Study on Chinese Cultural Region) / 3시간, 3학점
중국은 넓은 국토와 유구한 역사로 인해, 각 지역 간 다양한 경제지리, 인문지리, 문화지리를 형성한다. 중국을 몇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권별 경제, 문화, 민족, 사회적 특징 등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중국 사회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중국통상캡스톤디자인(Chinese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Capstone Design) / 6시간, 3학점
이 과목은 시장조사, 기업인턴, 창업활동, 기업인 인터뷰 등 활동을 통해 중국통상 전공 학생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배양하게 한다.
□ 중국현지조사(China field Investigation) / 1시간, 1학점
중국 교환학생으로 파견되어 중국의 문화, 정치, 경제를 직접 체험하고 중국어를 함양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 중급중국어1, 2(Intermediate Chinese1, 2) / 3시간, 3학점
중국어입문, 초급중국어 등의 학습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내용의 문장을 통해 중국어 어휘를 확대하고 중국어 문장구조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중국어 회화, 독해 및 작문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체계적 종합적으로 갖추는데 중점을 둔다. 아울러 중국어 문장 내용에 대한 독해력을 높여 우리말로의 정확한 번역을 연습한다.
□ 중급중국어연습1, 2(Intermediate Chinese Practice1, 2) / 3시간, 3학점
중국어입문과 초급중국어를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회화 중심 학습 과정이다. 이미 습득한 중국어회화 능력을 바탕으로 실생활 위주의 어휘력 확장과 다양한 표현연습을 통해 언어구사력을 확대한다. 이 과정을 통해 중국인과의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 중국어독해(Chinese-Korean Reading) / 3시간, 3학점
초 · 중급 중국어 교과목 수강을 통해 중국어 기본 어휘와 구문을 학습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국어 어휘를 심화 확대하여 학습하고, 중·고급 수준의 중국어 문장에 대한 독해능력을 배양하여, 실제 활용 가능한 중국어 능력을 갖도록 한다.
□ 중한번역연습(Chinese-Korean Translation Practice) / 3시간, 3학점
중국어를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은 중국어 실무능력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중·고급 수준의 중국어 능력을 기초로, 특정한 분야의 상용 어휘를 익히고, 전문분야의 고급 중국어 문장을 전문적이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번역하는 연습을 한다.
□ 중국어회화연습1, 2(Chinese-Korean Conversation Practice1, 2) / 3시간, 3학점
중급 수준의 중국어 어휘 능력과 독해 능력, 회화 능력을 갖춘 학생을 대상으로 실생활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어휘력과 표현을 연습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중국어 구사능력을 갖도록 한다.
□ 통상회화연습(Conversation Practice on Trade and Commerce) / 3시간, 3학점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비즈니스 관련 어휘나 표현을 학습하고, 실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급 중국어 회화 능력을 배양한다.
□ 한류와문화산업(K-Culture and Business) / 3시간, 3학점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한류의 본질을 이해하고 한국 문화산업의 여러 면을 조사 및 연구함으로써 실무적인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중관계론(Korea-China Relations) / 3시간, 3학점
한·중 관계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동북아의 국제 정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한 · 중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한·중 관계에 대처할 능력을 배양한다.
□ 한중기업경영론(Business Management in Korea and China) / 3시간, 3학점
중국과 한국의 기업의 조직 구조, 기업관리 원칙, 제도, 방법, 경영관리, 자금조달, 수출입 업무관리 등 기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 한중문화비교론(Comparative Study of Korea-China Culture) / 3시간, 3학점
한국과 중국은 오랜 역사적 교류와 그 영향으로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동시에 갖고 있다. 한 · 중 양국의 문화를 비교 분석적 시각에서 학습함으로써, 중국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중국인의 원만한 소통능력과 친화력을 갖춘 전문가적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 한중비즈니스창업론(Korea-China Business Entrepreneurship) / 3시간, 3학점
중국과 한국의 경제관계는 점점 심화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기회도 고도화되고 있다.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 포착하고 사업계획서 작성 연습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