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바이오기술(BT)과 다른 분야와의 융합 연구는 인류의 번영과 복지에 필요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보건, 의약, 의료기술, 환경문제 해결의 주된 수단으로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21세기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성장 동력의 축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바이오융합공학 전공은 2013년 신설된 세종대학교의 브랜드 전공 중 하나로 건강한 인류사회 구현을 목표로 생명공학의 특성인 다분야 학문간 융합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사회의 유망산업인 차세대 바이오융합 산업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을 선도하고자 하는 학과다.
본 전공은 생명체의 기본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분자 생물학, 미생물학, 유전학, 생리학, 생화학, 면역학 등의 기초학문 분야와 그 원리를 활용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바이오 의료 기술 개발 연구 및 교육에 중점을 둔 나노바이오공학, 백신개발, 생물(화학)공학 ,신약설계, 노화생명, 줄기세포, 뇌인지과학 등의 응용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우수한 교수진의 탁월한 연구는 국내외 바이오 분야에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최근 바이오분야에서 세계적 추세라 할 수 있는 융합학문의 바탕이 될 기초 함양을 위해 학생들이 1학년에는 기초 교과 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고 차후 다양한 바이오융합공학 관련 전공과목을 통하여 고유의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도록 특화된 커리큘럼을 실시하는 한편, 학석사 연계과정을 활성화하여 미래의 바이오융합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바이오 분야의 리더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다.
교육목표
우수한 연구역량
- ① 기초부터 응용 연구까지 다양 연구 경험 획득.
- ② 타교와 차별화된 연구 핵심역량 강화를 통한 우수학생 육성.
- ③ 국제화, 연구특성화 및 산학공동체제 구축하여 지속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높은 수준의 연구성과 도출.
- ④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한 우수한 성과 도출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하여 국제교류 및 상호 학술프로그램 운영.
- 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품 개발 및 연구결과의 산업화.
차별화된 교육과정
- ① 바이오융합공학 우수신입생에게 4년간 세종 브랜드 장학금(등록금전액) 지급.
- ② 지도교수의 1:1 지도 하에 학•석사 프로그램(학사 3.5년, 석사 1.5년) 이수, 석사과정 등록금전액 및 연구장려금 지급.
- ③ 졸업 후 본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진학 시 전액등록금 및 연구 장려금 지급.
- ④ 박사후 과정 이수 후 본교 전임교원 공채 지원 시 채용 우대.
졸업 후 진로
- ① 국내/해외 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의학/치의학/한의학/약학전문대학원) 진학.
- ② 관련 분야 회사 취업(제약업계, 의료업계, 바이오벤처 회사, 화장품업계, 화학분석기기 관련 외국계 회사, 컨설팅회사, 컴퓨터 관련 회사 등)
- ③ 여러 정부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소(국립보건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생명공학연구원, 화학연구소, 해양연구소, KIST 등)의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하다.
- * 바이오융합공학 전공 졸업 후 대학원 진학, 관련 분야 회사 취업, 국립연구기관 취업, 국내의 여러 정부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소의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하다. 세종대학교 바이오융합공학 전공은 연구능력 국내 4위로 대학원 학생 지도 및 학부 학생 실험 지도에 필요한 연구 인프라가 강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