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공교과과정


  1) 주 전 공    (1) 총학점 : 81학점 이상
                     (2) 전공필수과목 : 21학점
                     (3) 전공선택과목 : 60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2) 복수전공   (1) 총학점 : 39학점 이상
                     (2) 전공필수과목 : 15학점
                     (3) 전공선택과목 : 24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3) 부 전 공   (1) 총학점 : 바이오자원공학 전공과목 중에서 21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2) 이수권장과목 : 식물생리학 및 실험, 기초 미생물학 및 실험, 유전자조작 및 실험,
                         화훼학 및 실험, 유전공학 및 실험, 작물병리학 및 실험, 채소육종학 및 실험.




2. 교과목

이오산업론(Bioindustry) / 3시간, 3학점 바이오 기술이 실제 기업에서 어떻게 활용되는 지를 알아보고, 관련 기업체 방문이나, 관련 연구, 개발자들의 특강을 통해 바이오 기술 분야의 산업체와의 연계성을 다룬다. 


바이오자원공학(Resource Technology) / 3시간, 3학점 생명산업소재를 근간으로 자원탐색을 하고, 각 자원의 기능과 용도에 대해 강의한다. 


바이오폴리머공학(Biopolymer Engineering) / 3시간, 3학점 생체 내 거대 분자 중 단백질과 핵산, 탄수화물 등의 산업적 응용을 위해 개별 거대분자들의 생물체 내에서의 합성, 분해 과정에 중점을 두고 강의한다. 


분석화학(Analytical Chemistry) / 3시간, 3학점 생체분자의 분석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실험들을 설계하며, 설계되는 실험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 한 분석 장비의 원리를 강의하고, 분석 실험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 문제 해결 능력을 익힌다. 


분자생물학및실험(Molecular Microbiology and Lab) / 4시간, 3학점 유전물질의 구조, DNA 복제, 원핵 및 진핵세포의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재조합, 단백질 등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이해를 심화시킨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 3시간, 3학점 서열정렬, 유전자 검색, 유전자 조합, 단백질 구조 정렬, 단백질 구조 예측, 유전자 발현의 예측 등 여러 분야에 대해 전산, 정보적 측면에서 강의한다. 


생체신호전달(Biological Signal Transduction) / 3시간, 3학점 다양한 외부자극에 대한 진핵생물체의 특이적인 반응을 여러 다양한 세포내 신호 전달과정을 통해 이해한다. 이것을 위해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강의한다. 


생화학및실험(Biochemistry and Lab) / 4시간, 3학점 일반생화학을 수강한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거대분자들의 특성 및 기능을 알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화학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단백질의 분리정제, 탄수화물의 특성실험과 핵산의 분리 등의 실험을 강의 와 병행하여 생화학전반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식물기능유전체학(Plant Functional Genomics) / 3시간, 3학점 유용한 유전자의 기능을 구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품종개량을 위한 식물 유전체학 의 활용에 대한 기초 능력을 습득한다. 


식물대사공학(Plant Metabolic Engineering) / 3시간, 3학점 생명산업에 기초가 되는 식물체 유래의 1차 . 2차 대사산물 및 기능성 성분 등의 합성 경로 이해 및 이들 생합성 경로의 재설계를 통한 식물대사산물의 고부가치 산업화 활용 방안을 학습한다.


물발달생물학(Plant Developmental Biology) / 3시간, 3학점 식물의 생식/발생과정 그리고 뿌리, 줄기, 잎, 꽃으로의 분화 . 성장과정을 pattern형성모델을 이용 하여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 강의한다. 


식물병리학(Plant Pathology) / 3시간, 3학점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인 병원 미생물들과 그들에 의한 병 유발 기전을 공부하고 이에 대응하여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식물의 저항성 기작을 분자/전통 병리학적 측면에서 강의한다. 


식물분자육종학(Plant Molecular Breeding) / 3시간, 3학점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분자표지 개발의 원리와 육종에의 활용방법, 형질전환 등 생명공학을 이용한 육종기술에 대해 강의하고 기본적인 분자육종의 기술을 습득한다. 


식물생리학 및 실험(Plant Physiology and Lab) / 4시간, 3학점 광합성, 대사과정, 수분이동, 양분흡수 등 식물의 생리현상에 대한 강의를 하고, 실험을 통해 생리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산림치유지도사 연관과목 


식물세포생물학(Plant Cell Biology) / 3시간, 3학점 식물체의 기본인 세포에 대하여 세포내소기관, 세포막, 세포분열, 세포내골격 그리고 세포간 신호 전달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또한 식물의 성장과 발생을 조절하는 분자적 조절 메커니즘을 세포학 측면 에서 심화학습한다. 


식물스트레스생물학(Plant Stress Biology) / 3시간, 3학점 식물에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고온, 저온, 수분부족, 고염분, 강한 광선, 자외선, 오존, 중금속 등의 독성기전과 이에 대응하는 식물의 저항 기전에 대하여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 강의한다. 또한 이용적 측면에서도 설명한다.


식물유전공학 및 실험(Plant Genetic Engineering and Lab)/ 4시간, 3학점 식물의 고유한 유전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형질전환과 조직배양 등의 유전공학 기술 그리고 식물세포배양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실험을 통하여 기술을 체득한다. 


식물육종학 및 실험(Plant Breeding and Lab) / 4시간, 3학점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육종방법(교배육종, 여교잡육종, 돌연변이 육종, 소포자배양 육종 등)에 대해 강의하고 실험을 통해 기본적인 육종기술을 습득한다. 


식물학(Plant Biology) / 3시간, 3학점 식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식물의 세포, 조직, 기관등에 대하여 구조-기능적인 측면 에서 강의하고, 식물만의 대사과정, 분화와 성장과정 그리고 생식과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산림치유지도사 연관과목 


약용식물학(Medicinal Botany) / 3시간, 3학점 식물자원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의 원료가 되는 약용식물들의 종류, 특징, 다양한 이용성 및 응용 원리, 이용 종류 등을 식물학적 특성과 연계해서 다룬다. 

*산림치유지도사 연관과목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 / 3시간, 3학점 생물체의 근간을 이루는 유기물의 구조, 명명법, 작용기의 화학적 특성, 이성질체의 종류, 반응 기작 등에 대해 강의한다. 


유전체학개론(Introductory Genomics) / 3시간, 3학점 식물 유전체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 DNA의 구조와 특성, 염색체 수준에서의 유전체 구성, 유전체 분석 등을 강의한다. 


일반미생물학 및 실험(General Microbiology and Lab) / 4시간, 3학점 미생물과 그의 분류에 관련된 기본 이론을 학습하며, 미생물과 다른 생물자원과의 관계를 설명하여 바이오 자원공학에 활용할 수있는 방법 등을 강의하고, 미생물학 기반 다양한 실험방법들을 습득한다. 


일반생화학(Biochemistry) / 3시간, 3학점 핵산,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거대분자들의 구조와 각 분자들 간의 반응을 통해 생명체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현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일반유전학(Genetics) / 3시간, 3학점 생명체의 유전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유전물질, 멘델식 유전이론의 형성과정, 다양한 유전현상 과 그 기전 그리고 집단유전학 등을 강의한다. 


자원식물공학(Resource Plant Technology) / 3시간, 3학점 유전자원확보는 미래 생물산업의 성패를 가름할 중요한 자원임. 식물 유전자원의 종류 및 소재를 분류하고 식물 유전자원의 사용 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재배학 및 실습(Crop Cultivation and Practice) / 4시간, 3학점 인간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식량의 근간이 되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재배, 병, 생리 현상 및 생육에 필요한 기본에 대해 강의를 하고 실습을 통해 이해를 심화시킨다. 


종묘생산학(Seed Production Science) / 3시간, 3학점 유용식물자원의 종자 생산과정을 이해하고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톨해 이해를 심화시킨다. 

*산림치유지도사 연관과목 


졸업연구 및 진로1,2(Independent Study and Career Skills/Senior Project 1,2) / 1시간, 1학점 본 교과는 졸업 전까지 해당학과에서 학습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관심있는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 하거나 논문을 작성하는 과목으로서, 졸업 후 사회 진출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이수하도록 하여 사회적응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채소학(Vegetable Crop Science) / 3시간, 3학점 인간에게 필수적인 채소작물에 대한 기본 지식과 재배, 생리 및 영양성분 등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품종개발 및 보호출원(Cultivar Development and Protection applications) / 3시간, 3학점 품종의 육성 방법, 개발과정, 품종의 생산판매신고 및 보호출원에 관한 과정을 설명한다. 


항체공학(Antibody Engineering) / 3시간, 3학점항체는기초과학연구부터산업응용까지폭넓게응용되고있으며,바이오의약면에있어서도항체의 작성 및 그를 이용한 면역측정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세포 융합 법을 시작으로 하여 최근에는 유전자 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높은 항원 특이성과 친화성을 갖는 항체분자를 재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항체의 기능 및 구조뿐 아니라 재조합 항체의 개발방법 및 다양한 면역측정법에 대해 다룬다. 


화훼학개론(Introductory Floriculture) / 3시간, 3학점 화훼학의 정의, 분류, 품목별 특성, 재배 등 일반 지식 습득 및 관련된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화훼의 활용기법, 이용성 창출 측면에서 살펴보고 습득한다. 환경


환경생물학(Environmental Biology) / 3시간, 3학점 지구라는 생태계 내에서 일어나는 생명체와 무생명체의 상호작용, 환경오염 그리고 환경오염 정화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과 식물의 생활사와 그 정화기전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