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학점
- 중핵필수
-
- 총학점: 20학점
- (English Composition, 쓰기와 말하기, 사회와가치, 신입생세미나, 세종사회봉사, 고전독서)
- 중핵필수선택: 3개 영역에서 9학점 이상
- 전공기초교양: 6학점 (고등미적분학 1,2)
- 전 공
-
- 총학점 : 66학점 이상
- 전공필수과목 : 21학점
- 전공선택과목 : 45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 복수전공
-
- 총학점 : 39학점 이상
- 전공필수과목 : 15학점
- 전공선택과목 : 24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
전공 개설 과목 소개
1학년 전공 필수
2학년-4학년 전공 과목 소개
- 일반천문학 및 실험 (General Astronomy and Lab)
천문과 우주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연계의 현상이 간단한 물리학의 기본 원리 및 법칙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음을 깊이 있게 배운다. 이와 같이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예측하고 과학 기술 개발에 응용하는 법을 배운다. 별, 은하, 우주를 더욱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물리적 원리 및 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 천문학을 위한 물리학 (General Physics for Astronomy)
천문학을 전공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 배경 물리학적 지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1학기에 천체 역학과 통계물리학의 기초를, 2학기에 전자기학, 천문 광학 및 현대물리학의 기초를 다룬다. 이와 아울러 미적분학의 지식을 적용하여 여러 자연 현상에 적용하는 연습과 계산을 한다.
<천문학>
<컴퓨터>
<천체물리학>
- 태양계천문학 및 실험 (Solar System Astronomy & Lab)
4시간, 3학점 태양계를 구성하는 9개의 행성과 위성, 소행성, 테 등의 천체들의 운동과 구조를 공부하며, 최근 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원시행성계 원반과 최근 발견된 외계 행성들에 대한 관측 자료들을 바탕으로 우리 태양계의 형성 과정과 진화를 배운다. - 항성천문학 및 실험 (Stellar Astronomy & Lab)
4시간, 3학점 태양과 별에 관련된 관측 자료와 기본적인 물리량, 별의 내부 구조와 항성대기 등에 관련된 여러 물리 법칙을 배우고, 별의 탄생과 진화 그리고 그 종말 과정을 이해한다 - 천문관측 및 실습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Lab)
4시간, 3학점 천문학 연구의 토대인 관측을 이해하고, 관측 자료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천문관측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측광관측- 사진측광, 광전측광, CCD 측광-에 관련된 배경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실제 망원경을 써서 천문관측을 수행하여 천문 관측 자료를 획득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 천체분광학 개론 (Intro. to Astronomical Spectroscopy)
3시간, 3학점 현대천문학의 토대인 분광학을 통해 천체 현상에 관련된 물리적 과정을 이해하게 한다. 특히. 분광분류와 별의 물리량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별의 집합체인 성단과 은하의 분광학적 특성을 이해하게 한다. - 은하천문학 (Galactic Astronomy)
3시간, 3학점 우주는 수천억개의 은하가 넓은 범위에서 비교적 골고루 분포하며, 개개의 은하는 다시 수천억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항성천문학에서 공부한 별들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 은하의 구조를 배움과 아울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인 은하들의 형태와 분포 특성들을 공부한다. - 전파천문학 개론 (Introduction to Radio Astronomy)
3시간, 3학점 20세기에 도입된 전파천문학은 매우 낮은 성간물질에서 매우 에너지가 큰 천체현상에까지 관계하고 있다. 우주전파의 관측과 관측 자료의 해석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운다.
<컴퓨터>
- 전산천문학 (Computational Astronomy 1)
3시간, 3학점 천문학 연구에 필수적인 컴퓨터 언어를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천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프로그래밍을 연습한다. - 기초천문관측 및 실습 (Basic Astronomical Observations & Lab)
4시간, 3학점 천구좌표계에 대한 개념을 익힌 후, 망원경을 조작하여, 천체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배운다. 달 및 행성들에 대한 주기적인 관측을 통하여 천체들의 위치 변화와 시간의 개념을 파악하게 한다. - 천문기기 (Astronomical Instruments)
3시간, 3학점 최첨단의 천문학은 최첨단 관측 기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천문 관측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과 관련된 기초 지식과 이를 다루는 기술, 그리고, 기기의 설계와 관련된 기법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 천문 기초 통계학 (Basic Statistics in Astronomy)
3시간, 3학점 관측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매우 어두운 천체에서 오는 광자를 단 하나라도 손실 없이 받아서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관측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잡음 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에 신호 처리를 위한 통계 지식이 필요한다. 이 과목에서는 천문학 연구에 필수적인 통계 처리와 관측 자료의 신뢰도에 관련된 여러 가지 시험법을 배운다. - 천문영상처리 (Astronomical Image Processing)
3시간, 3학점 지상과 우주에서 얻은 다양한 천체 영상을 처리하는 배경 지식을 습득함과 아울러,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 획득 과정에서 도입되었던 고급 영상처리 기법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 천문정보처리 (Astronomical Data Processing)
3시간, 3학점 천문관측기기의 발달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의 자료가 양산되고 있다. 이들 자료들이 의미가 있는 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자료를 처리하는 올바른 기법이 확립되어야한다. 이처럼 천문관측자료의 처리에 관련된 여러 가지 방법을 배운다.
- 천체역학 개론 (Introduction to Celestial Mechanics)
3시간, 3학점 힘과 운동에 대한 고전 역학적 개념을 공부하고, 중력(만유인력)을 바탕으로 케플러의 법칙을 비롯한 다양한 천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과정을 공부한다. - 수리천문학 (Mathematical Astronomy)
3시간, 3학점 천문학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물리 현상을 이해하려면 많은 수학적 도구가 필요하다. 별이 태어나는 과정, 진화하는 과정, 죽어가는 과정에서 물리학의 전분야에 대한 지식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미분방정식, 선형대수의 기초 지식이 필요하다.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천체 현상의 해석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 지식을 공부한다. - 천체물리학 개론 (Introductory Astrophysics)
3시간, 3학점 2,3학년에서 배운 천문학 및 물리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천체 현상과 관련된 물리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이론적 측면을 배운다. 특히, 퀘이사, 펄사를 비롯한 현대 천문학에서 중요하게 연구되는 천체의 물리적 현상을 다룬다. - 상대성이론의 기초(Introduction to Relativity)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휘어진 시공간에서 물체의 운동 및 빛의 진행을 공부한다. 아인슈타인의 장방정식을 소개하고 블랙홀의 천체물리학적 성질 및 우주론의 기본 방정식을 공부한다. - 현대우주론 입문 (Introduction to Modern Cosmology)
3시간, 3학점 20세기 초에 허블이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우주대폭발 이론이 정립되었다. 특히 대형망원경의 건설과 관측 장비의 발전에 힘입어 우주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정교한 관측이 이루어짐으로써, 우주 모형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우주의 형성과 진화에 관련된 최근의 이론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 천문유체역학 (Astronomical Hydrodynamics)
3시간, 3학점 대부분의 천체들은 유체로 구성되어 있다. 별의 내부 구조를 비롯하여 별의 진화, 은하 안에서 성간 물질의 진화, 은하 간 충돌 및 병합과 같이 우주의 동력학적인 양상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유체를 기술하는 방법을 공부할 필요가 절실하다. 이 과목에서는 천체현상을 이해하는 바탕인 유체 역학을 배우고, 이를 통하여 천체현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갖도록한다. - 중력과 우주 (Gravitation and Universe)
3시간, 3학점 우주를 지배하는 힘인 중력과 이를 기술하는 고전 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배우고, 가장 미약한 힘인 중력이 어떻게 우주를 지배할 수 있는가를 이해한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중력 불안정 과정을 통하여 천체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고 현대 관측 우주론의 발전상을 살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