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O 1

가. 과제 대상
· 건축설계의 기본을 다지는 과목으로서, 건축디자인 및 건축드로잉 수강을 전제로 합니다.
· 평면, 입면, 단면 그리고 디테일이 의미 하는 것을 2차원적인 드로잉, 엑소노메트릭 그리고 건축모델을 제작 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체험하게 합니다. (Space Modeling Practice in Cube)
· 나아가서는 이러한 연습을 바탕으로 하여, 주어진 대지와 프로그램(여기서는 주택)에 학생 각자의 분석과 아이디어를 토대로 대안을 제시하게 합니다. (Upscale Private Residence)


나. 과제 목표
입방체 안의 공간조형연습(Space Modeling Practice in Cube)
·  CUBE는 PARTI를 CONCEPT 대신에 사용하고, 내부공간을 위계가 갖추어진 주/종속/독립공간으로 나눌 때, 어떻게 표현하는지?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 할 것인지? 접근은? 입구성은? 그와 연계된 내부동선은? 내부동선에 필수적인 수직 동선은 어떻게 풀 것인지? 등의 저학년에서 나올 수 있는 다양한 공간문제를 가장 단순한 조건에서 풀 수 있게 합니다.
· 공간의 수직적 확장과 층의 분할, 연결의 과정을 통해, 건축조형을 2차원적 평면으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규모가 큰 단독주택(Upscale Private Residence)
· 기본적인 법적요구사항, 대지조건과 프로그램에 맞는 외부형태를 적절히 디자인합니다. 단독주택디자인은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공간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건축설계의 단계를 초보적이나마 이해하도록 합니다.

 

다. 과제 진행

① TITLE: Space Modeling Practice in Cube (입방체 안의 공간조형연습)
   - Long-term Project (6 weeks)
OBJECTIVES: 공간의 수직적 확장과 층의 분할, 연결의 과정을 통해, 건축조형을 2차원적 평면으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게 한다. 최소한의 규모 내에서 공간구성연습을 합니다.
PROGRAM & SITE: 평화의 광장, 기존평화의 문과 호수사이에 광장방문객이 내부를 들어갈 수 있는 건축물(Pavillion)으로 계획한다. 프로그램은 지상층 카페, typical층 전시실, 최상층 전망대 등 위주로 계획합니다.
MATERIALS: 폼보드 또는 빈박스 (빈박스는 주로 스터디용 재료)
Formboard두께 – 처음에는 1mm를 사용하고 스케일이 커지면서 적절한 두께를 찾아갑니다. (1, 2, 3, 5mm / 우드락은 휘어지는 성질이 있어 스터디 모델재료로 부적합하고 오히려 빈 박스가 대안으로 더 적절)


② TITLE: Upscale Private Residence (규모가 큰 단독주택)

   - Long-term Project (7 weeks)
OBJECTIVES: 소셜미디어, sns, internet 등으로 전달되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새로운 트랜드 등 많은 정보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과 라이프 스타일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흥미로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롤모델 (인물 및 배경)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와 유사한 상황에 자신과 가족을 대입하여 앞으로의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 할 수 있는 적합한 집의 새로운 프로그램의 진화 및 공간적 특성을 제안, 개발합니다.
PROGRAM: 기본적인 living rm, kitchen, dining rm, master bed rm, 2bed rms, bath rm, guest rm, deck, etc. 이외에 Balcony, Bar, Koi Pond, Entry, Power, Master Bath, Master Closet, Garden, Etc. 등 부속적인 기능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 학생 각자가 선정한 *건축주의 요구에 의해 유니크한 기능이 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연면적은 100+-50평 정도를 유지하고 최대 200평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PRODUCTIONS:
드로잉: 각층평면도(실명 및 도면명 등 기입), 스케일1/150(A3사이즈에 적당한 다른 스케일 가능, A3로 프린트하여 1세트 제출)
모델: 1/100(폼보드, 필요시 아크릴 사용가능함, openning은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창문프레임 등 구체적인  부분은 되도록 표현하지 않도록 함)


③ TITLE: Space Explorering (공간찾기)
   - Short-term Project (3 weeks)
OBJECTIVES: 건축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공간을 학생이 직접 현장에 가서 체험하고 그 결과물을 스케치와 함께 스튜디오에 가져옵니다. 아직 건축공간에 대하여 제대로 정립된 지식이 없는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이 연습은 입문단계의 학생이 가지고 있을 편견을 없애고, 교수와 학생간의 공감대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면, 안도 다다오의 어렸을 적 기억(버려진 창고 어두운 내부의 구멍 난 한쪽 천정에서 새어 나오는 자연채광), 종로타워(상부의 남자화장실 / bridge 등), 고수부지 다리 밑(큰 스케일), 선유도공원(외부공간)
PROGRAM: 기본적으로는 흥미를 자아내는 건축공간 찾기입니다. 그러한 공간에서는 부가적으로 재미있는 단면 / 계단 / 자연채광의 사용 등이 종종 발견됩니다. 이미 세간에 알려진 건조물을 방문하여도 좋지만,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일상의 공간에서 심지어는 자연이나 아주 자그마하거나 큰(SCALE) 곳에서도 흥미 있는 공간은 발견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끼리 결과물을 가지고 ‘그 곳이 왜 흥미있는지?’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차기 CUBE PROJECT가 진행되는 주에 공간찾기의 보완을 함께 진행합니다.
PRODUCTIONS: 디지털사진이미지 / 평면, 단면스케치 등